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노서(老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인조반정으로 정권을 잡은 공서파 가운데 김유를 중심으로 한 노장파. 김유가 북인 남이공을 대사헌으로 삼으려 할 때, 이에 반대하는 소장파와 대립이 생겨 갈렸다.

노서아(露西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7 페이지 / 전적]

러시아의 음역.

노서아(露西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1 페이지 / 전적]

러시아.

노성장자(莊子)[외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장자(莊子)는 중국 전국 시대에, 장자가 지은 사상서. 중국의 철학과 선종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인간 지혜의 한계를 말하고,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에 참된 자유가 있다고 설명함. 10권 33편.

노소(老小)함께[자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린 아이부터 늙은이까지.

노소(老少)[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이와 젊은이.

노소(老少)[이화가젼 26 페이지 / 전적]

늙은이와 젊은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노소(老少)[이화가젼 26 페이지 / 전적]

늙은이와 젊은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노소관동(老少冠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노소(老少)는 늙은이와 젊은이를 같이 일컫는 말이고, 관동(冠童)은 관례(冠禮)를 한 사람과 관례를 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남자 어른과 남자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노소관동(老少冠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노소(老少)는 늙은이와 젊은이를 같이 일컫는 말이고, 관동(冠童)은 관례(冠禮)를 한 사람과 관례를 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남자 어른과 남자 아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노소동락(老少同樂)[망부가 6 페이지 / 전적]

늙은이와 젊은이가 함께 즐김.

노소동류(老少同類)[화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어른과 어린 아이 그리고 친구.

노소동류(老少同類)[화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어른과 어린 아이 그리고 친구.

노소부닌[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노소부인(老少婦人).

노소연치(老少年稚)[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노인들과 젊은이 그리고 어린 아이들까지.

노소장유(老少長幼)[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이와 젊은이, 어른과 아이.

노소장유(老少長幼)[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이와 젊은이, 어른과 아이.

노소장유(老少長幼)[당산조션가 6 페이지 / 전적]

늙은이와 젊은이, 노인과 어린이.

노소재(盧蘇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노수신(盧守愼). 조선 시대의 문신ㆍ학자(1515~1590).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蘇齋)ㆍ여봉노인(茹峯老人)ㆍ암실(暗室)ㆍ이재(伊齋). 을사사화로 유배되었다가 복귀하여 영의정에 올랐으나 기축옥사로 파직되었다. 저서에 ≪소재집≫이 있다.

노속(奴屬)[신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 종.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