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노복(奴僕)[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5 페이지 / 전적]

사내종.

노복(奴僕)[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5 페이지 / 전적]

사내종.

노복(奴僕)[연행별곡(연별곡) 25 페이지 / 전적]

사내종.

노복(老僕)[경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 사내종.

노복(老僕)[경기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 사내종.

노불지도(老佛之道)[해몽가라(몽가라) 11 페이지 / 전적]

노자(老子)와 석가(釋迦)의 도.

노불청정(老不聽政)[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늙어서도 정사를 돌보지 않음.

노불청정(老不聽政)[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늙어서도 정사를 돌보지 않음.

노비(路費)[장씨부인역사라 10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노비(路費)[장씨부인역사라 10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노비권속(奴婢眷屬)[여자석별가 11 페이지 / 전적]

노비 식구들 모두.

노비우마(奴婢牛馬) 노비(奴婢) 우마(牛馬)[자책가(가) 8 페이지 / 전적]

선비의 집에 흔히 갖추어 있는 재산으로 노비와 우마. 사내종과 계집종의 총칭. 소와 말.

노비은[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노비(奴婢)는.

노사이다[팔도가 9 페이지 / 전적]

놉시다.

노사이다[팔도가 9 페이지 / 전적]

놉시다.

노산군(魯山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8 페이지 / 전적]

조선 단종이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격하되었을 때에 붙여진 칭호.

노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1 페이지 / 전적]

「不遑將」― 父母를 奉養할 겨를을 못얻었다는 말임. 詩經 小雅四牡에 「王事不靡鹽遑將父」의 句가 있음.

노새[우미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암말과 수컷 나귀사이에서 태어난 잡종마(雜種馬).

노새[춘몽가(츈몽가) 6 페이지 / 전적]

말과의 포유류.암말과 수나귀 사이에서 난 잡종으로 크기는 말보다 약간 작으며, 머리 모양과 귀ㆍ꼬리ㆍ울음소리는 나귀를 닮음.몸이 튼튼하고 힘이 세어 무거운 짐을 나를 수 있고 생식 능력이 없음.미국, 중국, 에스파냐,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많이 기름.

노새[춘몽가(츈몽가) 6 페이지 / 전적]

말과의 포유류.암말과 수나귀 사이에서 난 잡종으로 크기는 말보다 약간 작으며, 머리 모양과 귀ㆍ꼬리ㆍ울음소리는 나귀를 닮음.몸이 튼튼하고 힘이 세어 무거운 짐을 나를 수 있고 생식 능력이 없음.미국, 중국, 에스파냐, 중앙아시아 등지에서 많이 기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