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노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2 페이지 / 전적]

「悻悻 」―很怒하는 모습을 이름. 孟子 公孫丑篇에 『悻悻然 見於其面』이란 대문이 있음

노염(老念)[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9 페이지 / 전적]

‘노여움’의 줄임말. 분하고 섭섭하여 화가 치미는 감정.

노오노이(老吾老而) 급인(及人)하여[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4 페이지 / 전적]

내 집 어른을 섬기듯이 남의 집 어른도 섬겨야 한다는 말.

노와露臥[ 1 페이지 / ]

비나 이슬을 가리는 설비도 없이 한데서 그대로 눕는 것

노유한담(路遊閒談)[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길에서 노닐며 한가롭게 대화흘 나눔.

노유한담(路遊閒談)[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길에서 노닐며 한가롭게 대화흘 나눔.

노은공지 원련이라[역대가라(역가라) 7 페이지 / 전적]

노은공지(魯隱公之) 원년(元年)이라. 노나라 은공 1년이라.

노을 먹는 사람[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12 페이지 / 전적]

신선을 말함. 도가(道家)의 수련법에 이슬 먹는 법이 있음.《眞誥》에 ‘해는 노을의 손님이고 노을은 해의 정기인데 그대는 오직 해를 복종시키는 법만 안다.‘ 하였음.

노음사(老阴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늙은 음(陰)의 형세를 갖춘 사(砂). 음(阴)은 음(陰)의 간자.

노음사(老阴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늙은 음(陰)의 형세를 갖춘 사(砂). 음(阴)은 음(陰)의 간자.

노음사(老阴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늙은 음(陰)의 형세를 갖춘 사(砂). 음(阴)은 음(陰)의 간자.

노음업난 병신닌체[효봉구고치산가 8 페이지 / 전적]

노(怒)여움 없는 병신인체.

노이무공(勞而無功)[자책가(가) 6 페이지 / 전적]

애를 썼으나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론학가권지일 31 페이지 / 전적]

애만 쓰고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론학가권지일 31 페이지 / 전적]

애만 쓰고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용담가 5 페이지 / 전적]

노력하였으나 이룬 공이 없음. 즉 애쓴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1 페이지 / 전적]

노력하였으나 이룬 공이 없음. 즉 애쓴 보람이 없음.

노이무공(勞而無功)[용담가라 6 페이지 / 전적]

힘써 노력했는데도 이룩한 것이 없어 보람이 없음.

노이무부(老而無夫)[고분가 21 페이지 / 전적]

늙어서 남편이 없다.

노이무부(老而無夫)[고분가 21 페이지 / 전적]

늙어서 남편이 없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