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노형(老兄)[송강집(松江集一)1 69 페이지 / 전적]
은 매화(梅花)를 말하고 此君은 대〔竹〕을 말한 것임.
노호(怒呼)[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6 페이지 / 전적]
성내어 소리를 지름.
노호(怒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4 페이지 / 전적]
萬竅怒」― 莊子 齊物論에 「夫大塊噫氣 其名爲風 是唯無作 作則萬竅怒號」라는 대문이 있음.
노화(蘆花)[소상팔경가 28 페이지 / 전적]
갈대꽃.
노회(老獪)[환행가 21 페이지 / 두루마리]
경험이 많고 교활함.
노회(老獪)[환행가 21 페이지 / 두루마리]
경험이 많고 교활함.
노후의 반궁[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92 페이지 / 전적]
제후(諸侯)의 학궁(學宮)으로 여기서는 우리 나라의 성균관을 가리킴.《詩經 魯頌 泮水》에 ‘즐거운 반수(泮水)에 잠깐 그 미나리를 캐었노라.‘ 했는데, 그 주에 ‘반수는 반궁(泮宮)의 물이다. 제후의 학궁을 반궁이라 하니, 동, 서, 남방에 물이있어 반벽(泮壁)과 같다.‘ 하였음.
노나구 버러싯고[복션화음록 12 페이지 / 전적]
노쇠 나귀 벌려 섯고. 노쇠와 나귀가 늘어 서 있고.
녹(祿)[교훈가 2 페이지 / 전적]
옛날 관원에게 지급하던 급료로, 여기서는 먹고 살 거리. 녹봉(祿俸).
녹거(鹿車)[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삼거(三車)의 하나. 삼승(三乘)의 하나인 독각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녹거(鹿車)[냥신낙사가(냥신낙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삼거(三車)의 하나. 삼승(三乘)의 하나인 독각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녹기(綠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2 페이지 / 전적]
「綠綺」―琴名임. 傳玄의 琴賦序에「楚王은 繞梁의 琴을 가졌고 司馬相如는 綠綺의 琴을 가졌고 蔡邕은 焦尾의 琴을 가졌는데, 다 名器이라」했음. 盧仝의 有所思에「含愁更奏綠綺琴 調高絃絶無知音」이라 했음.
녹기(綠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9 페이지 / 전적]
「綠綺」―거문고의 異稱임. 傳玄의 琴賦序에「楚王有琴曰繞梁司馬相如有綠綺 蔡邕有焦尾皆琴名」이라 하였음. 張平子의 西愁詩에「羙人遺我綠綺琴 行以報之雙南金」이란 句가 보임.
녹기안장(綠旗鞍裝)[시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 깃발과 말안장.
녹난하다[남자답가라(남답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나른하고 피로하다.
녹녹(碌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碌碌」―無能하다는 뜻임. 史記平原君列傳에「公等碌碌 可謂因人成事者也」라는 구절이 있음.
녹도[팔역가(八域歌) 35 페이지 / 전적]
전남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녹동마을에 소재
녹도서(錄圖書)[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의 도참서. 여기에 진을 망하게 할 자는 호(胡)라고 되어 있어 진시황이 북방의 호족(胡族)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을 쌓았으나, 진나라는 결국 이세황제인 호해(胡亥) 때에 멸망하였다.
녹도서(錄圖書)[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나라 때 유행하던 도참서(圖讖書).
녹도서(錄圖書)[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나라 때 유행하던 도참서(圖讖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