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단(大緞)[죽엽가(쥭엽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종류.

대도(大都)[셔유곡 3 페이지 / 전적]

대도시(지역이 넓고 인구가 많은 도시).

대도독(大都督)[한양가라 73 페이지 / 전적]

전군을 지휘하고 통솔하는 벼슬.

대도독(大都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9 페이지 / 전적]

①전군(全軍)의 통솔자(統率者) ②중국(中國)의 관명. 도독의 하나로서 중임을 맡았음. 육조(六朝) 위(魏)나라에서 시작(始作)됨.

대도방(大道傍)[오륜가라 42 페이지 / 전적]

큰길 가. 큰길 옆.

대도상(大道上)[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큰 저자거리에서.

대도춘풍(大道春風)[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6 페이지 / 전적]

큰 길에 부는 봄바람.대도(大道)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도리 이자 한울님의 도를 뜻하기도 한다.

대도춘풍(大道春風)[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6 페이지 / 전적]

큰 길에 부는 봄바람.

대도춘풍(大道春風)[합자가(合字歌) 2 페이지 / 전적]

큰 길에 부는 봄바람.대도(大道)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도리 이자 한울님의 도를 뜻하기도 한다.

대도춘풍(大道春風)[합자가(合字歌) 2 페이지 / 전적]

큰 길에 부는 봄바람.

대도춘풍(大道春風)[길자가(吉字歌) 2 페이지 / 전적]

큰 길에 부는 봄바람.대도(大道)란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근본도리 이자 한울님의 도를 뜻하기도 한다.

대도춘풍(大道春風)[길자가(吉字歌) 2 페이지 / 전적]

큰 길에 부는 봄바람.

대도통(大道通)[길자가(吉字歌) 4 페이지 / 전적]

대도(大道)가 통한다.

대도통(大道通)[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2 페이지 / 전적]

대도(大道)가 통한다.

대독치(大讀峙)[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8 페이지 / 전적]

큰 고개.

대동(大同)[민탄가(民歎歌) 4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삼세(三稅)의 하나로, 토지에 따라 쌀·무명 등을 바치게 하던 제도.

대동(大同)마을[자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온 세상이 번영하여 화평한 마을.

대동강(大東江)[옥설가 47 페이지 / 전적]

대동강(大同江)의 잘못.

대동법(大同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7 페이지 / 전적]

전(前)에 현물(現物)로 바치던 공물(貢物)을 미곡(米穀)으로 환산(換算)하여 거두어들이던 법. 전세(田稅)와 같이 전(田) 1결(結)에 대(對)하여 일정(一定)한 양을 거둠. 임진란(壬辰亂) 이후(以後) 민폐(民弊)를 덜고 국가(國家) 재정(財政)을 재편성(再編成)하기 위(爲)하여 선조(宣祖) 41년(1608)에 먼저 경기(京畿)에 실시(實施)하였다가 후(後)에 전도(全道)에 걸쳐 실시(實施)하였으며 고종(高宗) 31년(1894)에 폐(廢)했음.

대동세(大同世)[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온 세상이 번영하여 화평하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