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명(大明)[소상팔경가 7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를 높여 부르는 말.

대명(大明)[자치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를 높여 부르는 말.

대명(待命)[일회심곡(一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명령을 기다림.

대명(待命)[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9 페이지 / 전적]

명령에 대기함.

대명(待命)[자직가(子職歌) 6 페이지 / 전적]

명령을 기다림.

대명(待命)[경명가(敬命歌) 2 페이지 / 전적]

명령을 기다림.

대명(待命)[경명가(敬命歌) 3 페이지 / 전적]

명령을 기다림.

대명동무[조심가라 14 페이지 / 전적]

대명홍무(大明洪武)의 오기인 듯함. 1392년은 대명홍무 25년.

대명동무[조심가라 14 페이지 / 전적]

대명홍무(大明洪武)의 오기인 듯함. 1392년은 대명홍무 25년.

대명천자(大明天子) 주원장(朱元璋)[경화가(警和歌) 17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민족의 주원장이 원나라를 물리치고 명나라를 세움. 17대 277년(1368~1644)만에 이자성에게 망함.

대명천자(大明天子) 주원장(朱元璋)[경화가(警和歌) 17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민족의 주원장이 원나라를 물리치고 명나라를 세움. 17대 277년(1368~1644)만에 이자성에게 망함.

대명천지(大明天地)[지리산이수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밝은 세상, 크게 밝은 하늘과 땅.

대명화(大明花)[조심가라 3 페이지 / 전적]

쇠비름과의 한해살이 풀인 채송화(菜松花)를 일컫기도 하나 「大明律」「大明一統志」의 「大明」처럼 중국의 명나라가 자기 나라를 스스로 높여 일컫던 것을 비유하기 위한 꽃이름으로 쓴 말.

대명화(大明花)[조심가라 3 페이지 / 전적]

쇠비름과의 한해살이 풀인 채송화(菜松花)를 일컫기도 하나 「大明律」「大明一統志」의 「大明」처럼 중국의 명나라가 자기 나라를 스스로 높여 일컫던 것을 비유하기 위한 꽃이름으로 쓴 말.

대명회전(大明會典)[송강집(松江集四)4 97 페이지 / 전적]

명(明)나라의 법전(法典).

대모[여자석별가 6 페이지 / 전적]

큰 옷감의 뜻인 듯.

대모(大母)[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큰 할머니.

대모(玳瑁)[셔유곡 16 페이지 / 전적]

대모갑(玳瑁甲)(대모의 등과 배를 싸고 있는 껍데기).

대모관자(玳瑁管子)[벽천가 14 페이지 / 전적]

대모갑으로 만든 망건 당줄을 꿰는 작은 고리.

대모연(玳瑁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7 페이지 / 전적]

「玳瑁筵」― 玳瑁文의 자리인데 玉堂을 가르킨 것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