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대부인(大夫人)[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5 페이지 / 전적]
남의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자당(慈堂)과 같은 말.
대부인(大夫人)[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로 천자(天子)를 낳은 부인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대부핍절(代不乏絶)[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 페이지 / 전적]
대대로 끊어지지 않음.
대부핍절(代不乏絶)[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1 페이지 / 전적]
대대로 끊어지지 않음.
대북(大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북인(北人) 가운데 홍여순, 이산해 등을 중심으로 한 분파. 선조 32년(1599)에 홍여순이 대사헌이 되려 하는 것을 남이공이 반대하면서 북인에서 갈려 나왔다.
대분(大奮)[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 페이지 / 전적]
크게 화냄.
대불핍절(代不乏絶)[조심가라 16 페이지 / 전적]
대를 끊이지 않음.
대불핍절(代不乏絶)[조심가라 16 페이지 / 전적]
대를 끊이지 않음.
대붕(大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3 페이지 / 전적]
「大鵬」-莊子 逍遙遊에 나오는 鵬을 말함。
대붕(大鵬)[한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북해에 산다는 상상의 새. 하루에 9만리를 날아간다고 함.
대붕(大鵬)[한별곡 8 페이지 / 전적]
하루에 구만리를 난다는 상상속의 큰 새.
대비(大悲)[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①중생(衆生)의 고통(苦痛)을 건져 주려는 부처의 큰 자비(慈悲).대자(大慈) ②대비 보살(大悲菩薩)
대비(大悲)[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①중생(衆生)의 고통(苦痛)을 건져 주려는 부처의 큰 자비(慈悲).대자(大慈) ②대비 보살(大悲菩薩)
대비(大悲)[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①중생(衆生)의 고통(苦痛)을 건져 주려는 부처의 큰 자비(慈悲).대자(大慈) ②대비 보살(大悲菩薩)
대비(大悲)[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①중생(衆生)의 고통(苦痛)을 건져 주려는 부처의 큰 자비(慈悲).대자(大慈) ②대비 보살(大悲菩薩)
대비선(大悲船)[권왕가 61 페이지 / 전적]
대비원선(大悲願船). 부처의 대자비(大慈悲)를 배에 비유하여 이른 말. 대비(大悲) : 중생의 고통을 가엽게 여겨 구제하려는 부처의 큰 자비. 또는, 자비가 큼.
대비선(大悲船)[자책가(가) 23 페이지 / 전적]
대비의 배. 대비(大悲) : 중생의 고통을 가볍게 여겨 구제하려는 부처의 큰 자비. 또는 자비가 큼.
대사(代射)[호남비결(湖南秘訣) 10 페이지 / 전적]
무과의 시재를 남이 대신 치르게 하던 일.또는 그런 부정 행위.
대사(代死)[거창가 21 페이지 / 전적]
살인자를 사형에 처하는 일.
대사(代死)[거창가 21 페이지 / 전적]
살인자를 사형에 처하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