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대배(大拜)[송강집(松江集六)6 6 페이지 / 전적]
정승으로 임명
대백(大白)[환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큰 술잔.
대백(大白)[환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큰 술잔.
대법고(大法鼓)[권왕가 61 페이지 / 전적]
불교의식 때에 부처 앞에서 치는 큰 북.
대벽(大辟)[송강집(松江集三)3 62 페이지 / 전적]
사형(死刑)을 이름. 書經 呂刑篇에「大辟疑赦其罰千鍰」
대변(代辨)[기원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남을 대신하여 사무를 처리함.
대변(大變)[녁대가(녁가) 28 페이지 / 전적]
중대하고 큰 변고.
대보(大寶)[형졔분슈가 5 페이지 / 전적]
귀중한 보물.
대보단(大報壇)[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명(明)나라 태조(太祖) ·신종(神宗) ·의종(毅宗)을 제사 지낸 사당으로 숙종 31년 창덕궁 금원 옆에 설치함.
대보단(大報壇)[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명(明)나라 태조(太祖) ·신종(神宗) ·의종(毅宗)을 제사 지낸 사당으로 숙종 31년 창덕궁 금원 옆에 설치함.
대보단(大報壇)[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명(明)나라 태조(太祖) ·신종(神宗) ·의종(毅宗)을 제사 지낸 사당으로 숙종 31년 창덕궁 금원 옆에 설치함.
대보단(大報壇)[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2 페이지 / 전적]
중국 명나라의 태조, 신종, 의종을 제사 지내던 사당.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원병을 보내 주었다고 하여 숙종 30년(1704)에 창덕궁 금원(禁苑) 옆에 설치하였음.
대보단(大報壇)[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에 명(明)나라 태조(太祖) ·신종(神宗) ·의종(毅宗)을 제사 지낸 사당으로 숙종 31년 창덕궁 금원 옆에 설치함.
대보단(大報壇)[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에 명(明)나라 태조(太祖) ·신종(神宗) ·의종(毅宗)을 제사 지낸 사당으로 숙종 31년 창덕궁 금원 옆에 설치함.
대보단(大報壇)[안심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중국 명나라의 태조·신종·의종을 제사 지내던 사당. 임진왜란 때 명나라가 원병을 보내주었다고 하여 숙종 30년(1704)에 창덕궁 금원(禁苑) 옆에 설치하였다.
대보살(大菩薩)[자책가(가) 12 페이지 / 전적]
지덕(智德)이 뛰어난 보살.
대봉(代捧)[향음주례가 4 페이지 / 전적]
세금 따위를 돈이나 다른 것으로 대신 받도록 함. 삼남의 대기근과 흉년에 대해 수차례 윤음(綸音)을 내려 환자(還者)를 돈으로 대신하거나 기한을 연장해주는 등의 세밀한 군왕의 구휼 대책을 언급한 구절임.
대부[석천집(石川集二-二)2-2 97 페이지 / 전적]
소나무를 대부(大夫)라고 부른다. 진시황이 태산에 올랐는데 갑자기 비바람이 몰아쳐, 그 나무 아래에서 쉬었다. 그래서 소나무를 봉하니 5대부가 되었다. -<<서언고사(書言故事)>>
대부(大夫)[통륜가(通倫歌) 3 페이지 / 전적]
중국에서 관위(官位)의 이름.주(周)나라 때에는 경(卿)의 아래, 사(士)의 위의 집정관으로, 상대부(上大夫)ㆍ중대부(中大夫)ㆍ하대부(下大夫)의 세 등급(等級)으로 갈림.중국 진한(秦漢) 이후에, 어사(御史) 대부(大夫)ㆍ광록(光祿) 대부(大夫) 등으로 쓰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무관(武官) 2품(二品) 이상에 붙임.
대부인(大夫人)[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5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고종의 어머니를 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