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대동세(大同世)[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온 세상이 번영하여 화평하다.
대동소이(大同小異)[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큰 차이 없이 거의 같음.
대동소이(大同小異)[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큰 차이 없이 거의 같음.
대동아전(大東亞戰)[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과 연합군 사이에 벌어진 ‘태평양전쟁’을 일본에서 이르던 말. 대동아전쟁.
대동아전쟁(大東亞戰爭)[축원하온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침략하며 일으킨 전쟁으로 '대동아'란 동아, 즉 동아시아에 동남아시아를 더한 지역을 가리키는 말.
대량(大樑)[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대들보.
대량(大樑)[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대들보.
대력[석천집(石川集二-四)2-4 57 페이지 / 전적]
中國 唐나라 代宗의 年號.
대령(待令)[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대령(待令)[셔유곡 2 페이지 / 전적]
등대(미리 준비하고 기다림).
대례(大禮)[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대례는 신랑 ·신부가 사실상 처음 상면하는 절차로, 재래식 혼인에서 대례라고 하는 개념은 넓은 의미로 전안(奠雁)에서 초례(醮禮)까지의 과정, 즉 신랑이 혼인날 또는 그 전날 신부집으로 행차하여 예식을 치르고 첫날밤을 보낸 다음 신부를 데려오는 과정을 말함.
대례(大禮)[효행가(孝行歌) 5 페이지 / 전적]
규모가 큰 중대한 의식.
대례(大禮)[무제(양신택졍하여) 5 페이지 / 전적]
혼인을 치르는 큰 예식.
대례청(大禮廳)[형졔분슈가 5 페이지 / 전적]
혼인을 치르는 곳.
대로[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0 페이지 / 전적]
나라의 큰 인물을 말함.《孟子 離婁章句上》에 ‘두 늙은이는 천하의 대로인데 돌아왔으니 이는 천하의 아버지가 돌아온 것이다.‘ 했는데, 그 주에 ‘두 늙은이는 백이(伯夷)와 태공(太公)이다.‘ 했다
대로(大怒)[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크게 화를 냄.
대로(大怒)[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크게 화를 냄.
대로(大老)[석촌별곡 11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학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裂). 효종의 뜻을 받들어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고자 북벌 계획을 세웠다
대론(臺論)[송강집(松江集五)5 85 페이지 / 전적]
사헌부(司憲府)의 의논
대루원(待漏院)[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이른 아침에 대궐 안으로 들어갈 사람이 대궐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던 곳. 물시계가 입조(入朝)의 시각을 가리키기를 기다리던 곳이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