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독자심화(讀者心和)[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2 페이지 / 전적]

읽은 사람의 마음이 온화해지다.

독장(櫝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7 페이지 / 전적]

櫝에다 감쳐둔다는 말임. 論語 子罕에 「有美玉於斯 韞櫝而藏諸」라는 대문이 있음.

독장난명(獨掌難鳴)[심심가(尋心歌) 24 페이지 / 전적]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독장난명(獨掌難鳴)[심심가(尋心歌) 24 페이지 / 전적]

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독전[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8 페이지 / 전적]

옹기를 염두한 말. 전이 달린 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

독전부귀(獨專富貴)[명륜가(明倫歌) 44 페이지 / 전적]

홀로 부귀만을 오롯이 함.

독조한강(獨釣寒江)[거창가라 26 페이지 / 전적]

차가운 강에서 혼자 낚시를 하는 것.

독조한강(獨釣寒江)[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1 페이지 / 전적]

차가운 강에서 혼자 낚시를 하는 것.

독조한강설[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유종원의 시 <강설>의 결구. 千山鳥飛絶 萬徑人踪滅 孤舟衰笠翁 獨釣寒降雪.

독참강락(獨?康樂)[화전가1 6 페이지 / 전적]

유독 강락에게 부끄럽다. 강락은 동진(東晋) 때 사강락(謝康樂)의 동생으로서 형 사강락은 동생을 무척 사랑하였다. 이백은 사강락의 사랑만 같지 못한 것을 부끄럽다고 함.

독참강락(獨慚康樂)[화전가2 6 페이지 / 전적]

유독 강락에게 부끄럽다. 강락은 동진(東晋) 때 사강락(謝康樂)의 동생으로서 사강락은 동생을 무척 사랑하였다. 이백은 사강락 사랑만 못한 것에 대해 부끄럽다고 함.

독축(讀祝)[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축문(祝文)을 읽음.

독축(讀祝)[자치가라 19 페이지 / 두루마리]

축문을 읽음.

독치기[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도치기. 인색하고 인정이 없는 사람.

독치기[조심가라 34 페이지 / 전적]

도치기. 인색하고 인정이 없는 사람.

독침(獨寢)[잣치가라(치라) 33 페이지 / 전적]

혼자서 잠.

독행천리(獨行千里)[소상팔경가 30 페이지 / 전적]

천릿길을 홀로 걸음.

독향화지혈만토(獨向花枝血忟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5 페이지 / 전적]

짝 잃은 너의 모습 처량하지만

독화실(讀畵室)[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그림을 관상하며 음미하는 공간.

독화실(讀畵室)[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그림을 관상하며 음미하는 공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