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관(東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0 페이지 / 전적]
「東觀」-漢나라 때에 官中의 藏書處임。安帝가 五經博士에게 詔하여 東觀의 五經諸子記와 百家藝術을 校定하게 하였음。
동관대궐[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동궐(東闕). 경복궁(景福宮)의 동쪽에 위치한 창덕궁(昌德宮)을 가리킴.
동관대궐[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동궐(東闕). 경복궁(景福宮)의 동쪽에 위치한 창덕궁(昌德宮)을 가리킴.
동관대궐[한흥가라 9 페이지 / 전적]
동궐(東闕). 경복궁(景福宮)의 동쪽에 위치한 창덕궁(昌德宮)을 가리킴.
동교(東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7 페이지 / 전적]
「東膠」- 學校의 이름임. 禮記 王制에「周人養國老於東膠」라했고 註에「東膠는 역시 太學이다」라 했음.
동교(東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6 페이지 / 전적]
「東膠」―周의 大學인데, 國中 五宮의 東에 있음. 膠는 紏의 뜻임. 禮記王制에「周人養國老於東膠」라 하였음.
동구(洞口)[금강산유람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동네 어귀. 또는 절로 들어가는 산문(山門)의 어귀.
동국[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1 페이지 / 전적]
사람 이름.
동국(東國)[ 1 페이지 / ]
예전에, 중국에 대하여 우리나라를 일컫던 말.
동국(東國)[자경별곡(自警別曲) 4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중국에 대하여 우리나라를 일컫던 말.
동국(東國)[슈절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우리나라’를 달리 이르던 말. 우리나라가 중국의 동쪽에 있었던 데서 유래함.
동국(東國)[슈절자탄가 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우리나라’를 달리 이르던 말. 우리나라가 중국의 동쪽에 있었던 데서 유래함.
동국산천[은삭가 4 페이지 / 전적]
동국(東國)은 예전에 ‘우리나라’를 달리 이르던 말. 우리나라가 중국의 동쪽에 있었던 데서 유래함.
동국산천[은삭가 4 페이지 / 전적]
동국(東國)은 예전에 ‘우리나라’를 달리 이르던 말. 우리나라가 중국의 동쪽에 있었던 데서 유래함.
동국산천(東國山川)[비틀노래 4 페이지 / 두루마리]
‘고국산천(故國山川)’ 조상 적부터 살아온 자기 나라의 산과 물이라는 뜻으로 자신의 나라를 정겹게 부르는 말.
동국수양(東國首陽)[팔도안희가 11 페이지 / 전적]
백이숙제(伯夷叔齊)의 수양산과 야은선생(冶隱先生)의 금오산과 비유한 것이다.
동국참서(東國讖書)[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5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의 미래 예언서.
동국참서(東國讖書)[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하여 그 길하고 언짢음을 미리 들어 하는 말을 기록한 우리나라 책들.조선시대 정감(鄭鑑)과 이심(李沁)의 문답을 기록한 책이라는
동국참서(東國讖書)[창덕가2 5 페이지 / 전적]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하여 그 길하고 언짢음을 미리 들어 하는 말을 기록한 우리나라 책들.조선시대 정감(鄭鑑)과 이심(李沁)의 문답을 기록한 책이라는 '정감록(鄭鑑錄)'이 대표적임.
동국통감(東國通鑑)[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9 페이지 / 전적]
조선 성종 15년(1484)에 왕명에 따라 서거정, 정효항(鄭孝恒) 등이 편찬한 역사책이다. 중국 사마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