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두철액(銅頭鐵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성질이 모질고 거만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두철신(銅頭鐵身)과 같은 말.
동두철액(銅頭鐵額)[창덕가2 103 페이지 / 전적]
구리로 만든 머리와 쇠로 만든 이마라는 뜻으로, 성질이 모질고 거만(倨慢)한 사람을 비유해 이르는 말.
동두철액(銅頭鐵額)[창덕가2 104 페이지 / 전적]
구리로 만든 머리와 쇠로 만든 이마라는 뜻으로, 성질이 모질고 거만(倨慢)한 사람을 비유해 이르는 말.
동두칠성(東斗七星)[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22 페이지 / 전적]
동두칠성 또는 동방창룡칠수로 부르는 일곱별인 각항저방심미기(角亢房心尾箕)
동등(冬等)[아림가(娥林歌) 30 페이지 / 전적]
① 춘, 하, 추, 동의 네 등급으로 나눈 것의 넷째 등급. ② 예전에, 겨울에 내던 세금.
동란(動亂)[경노의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1950년 6월 25일 남북이 대치하여 벌인 6·25전쟁을 말함.
동래(東萊)[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2 페이지 / 전적]
부산광역시 중북부에 있는 지명.
동래(東萊)[한양가라 61 페이지 / 전적]
부산시 동래구.
동래반상(東萊飯床)[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동래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지명이며, 반상은 격식을 갖추어 밥상 하나를 차리도록 만든 한 벌의 그릇을 말함.
동래왜관(東萊倭館)[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7 페이지 / 전적]
수[戌]자리로 조공으로 온 왜인들이 조선에 와서 처음 정착한 곳으로 현재 경상북도 칠곡군에 속해 있음.
동래읍내(東萊邑內)[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7 페이지 / 전적]
경상남도의 한 군(郡)인 동래를 가리키며, 현재 부산광역시에 속해 있음.
동래정씨(東萊鄭氏)[축원하온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동래(東萊)는 현재 부산(釜山)과 양산(梁山)의 일부 지역을 차지했던 옛 행정구역으로 경상남도 남동단에 위치하고 있음. 시조는 정회문(鄭繪文).
동량(棟梁)[춘산노인담 5 페이지 / 전적]
기둥과 들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동렬(同列)[용문가라 7 페이지 / 전적]
같은 줄. 여기서는 형제.
동령(東嶺)[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동쪽 고개.
동령제월(東嶺霽月)[화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동쪽 언덕의 비가 갠 하늘의 밝은 달.
동로의관(洞魯衣冠)[낙지가 4 페이지 / 전적]
노나라의 제자(諸子)를 말함
동료(同僚)[혼례가(婚禮歌) 3 페이지 / 전적]
동무.같은 곳에서 같은 일을 보는 사람.
동류 친척(同類親戚)[청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무리의 친족과 외척들.
동류(同流)[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유파를 말하며, 여기서는 나이나 신분이 서로 같거나 비슷한 사람을 말하는 ‘동배(同輩)’와 같은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