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동방삭[석천집(石川集二-五)2-5 13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때의 사람이니 무제(武帝)를 섬기었는데 해학과 변설에 능했다 함

동방삭[석천집(石川集二-五)2-5 34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 때의 사람으로 자는 만청(曼倩)인데 무제(武帝)를 섬기어 금마문시중(金馬門侍中)이 되었는데 해학과 변설에 뛰어났다고 함.

동방삭[몽유가(몽류가) 6 페이지 / 전적]

한 나라 무제 때의 사람으로 자(字)는 만천(曼倩)이며, 벼슬이 금마문시중(金馬門侍中)에 이르고 해학과 변설로 이름이 났음.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죽지 않고 장수(長壽)하였으므로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일컬으며, 후세에는 오래 사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함.

동방삭[몽유가(몽류가) 6 페이지 / 전적]

한 나라 무제 때의 사람으로 자(字)는 만천(曼倩)이며, 벼슬이 금마문시중(金馬門侍中)에 이르고 해학과 변설로 이름이 났음.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죽지 않고 장수(長壽)하였으므로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일컬으며, 후세에는 오래 사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함.

동방삭(東方朔)[백발가 3 페이지 / 전적]

한 무제 때의 사람.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고 장수하였으므로 삼천자동박삭(三千子東方朔)이라 이름.

동방삭(東方朔)[츅친서라 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으로 무제(武帝)의 총애를 받아 태중대부급사중(太中大夫給事中)까지 올랐다. 재산을 모두 미녀들에게 탕진했으며, 광인이라고 불렸다. 한때 부국강병책을 상주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동방삭(東方朔)[백발가(白髮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BC154?~BC92?). 해학(諧謔)과 변설(辯舌),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났으며, 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장수하였으므로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부름.

동방삭(東方朔)[백발가(白髮歌) 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BC154?~BC92?). 해학(諧謔)과 변설(辯舌),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났으며, 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장수하였으므로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부름.

동방삭(東方朔)[거창가 12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 때의 사람. 자는 만천(曼倩). 무제(武帝)를 섬겨 금마문시중(金馬門侍 中)이 되었으며 해학(諧謔)과 변설(辯舌)에 능했음.

동방삭(東方朔)[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한(前漢) 때의 사람으로. 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장수하였으므로 삼천갑자 동방삭이라 부름.

동방삭(東方朔)[청년남녀훈계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의 사람.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죽지 않고 장수하였다 하여 삼천갑자동방삭(三千甲子東方朔)이라 불림. 흔히 오래 사는 사람의 비유로 널리 쓰임.

동방삭(東方朔)[거창가 12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 때의 사람. 자는 만천(曼倩). 무제(武帝)를 섬겨 금마문시중(金馬門侍 中)이 되었으며 해학(諧謔)과 변설(辯舌)에 능했음.

동방삭(東方朔)[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한(前漢) 때의 사람으로. 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장수하였으므로 삼천갑자 동방삭이라 부름.

동방삭(東方朔)[청년남녀훈계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의 사람.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죽지 않고 장수하였다 하여 삼천갑자동방삭(三千甲子東方朔)이라 불림. 흔히 오래 사는 사람의 비유로 널리 쓰임.

동방삭(東方朔)[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5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사람으로 해학(諧謔)·변설(辯舌)·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났으며,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장수하였다 하여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부름.

동방삭(東方朔)[거창가라 17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B.C.154~?B.C.93).자는 만천(曼倩).해학ㆍ변설(辯舌)ㆍ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났다.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장수하였으므로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이른다.

동방삭(東方朔)[아림가(娥林歌) 1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B.C.154~?B.C.93). 자는 만천(曼倩). 해학ㆍ변설(辯舌)ㆍ직간(直諫)으로 이름이 났다. 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장수하였으므로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이른다.

동방삭(東方朔)[축원하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 자는 만천(曼倩). 벼슬은 상시랑(常侍郞)·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냄. 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고 삼천갑자를 살아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이름.

동방삭(東方朔)[영산초장이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 자는 만천(曼倩). 벼슬은 상시랑(常侍郞)·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냄. 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고 삼천갑자를 살아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이름.

동방삭(東方朔)[도덕가라 2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문인. 자는 만천(曼倩). 벼슬은 상시랑(常侍郞)·태중대부(太中大夫)를 지냄. 속설에 서왕모의 복숭아를 훔쳐 먹고 삼천갑자를 살아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이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