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리촌촌(洞里村村)[막소가(莫笑歌) 6 페이지 / 전적]
동네 여러 마을.
동맹(同盟)[ 1 페이지 / ]
동일한 행동을 취하기로 맹세하는 약속.
동맹(同盟)[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2 페이지 / 전적]
동일한 행동을 취하기로 맹세하는 약속.
동명(東溟)[시절가 25 페이지 / 전적]
동해(東海)(황해(黃海) 남쪽에 있는 바다).
동명성왕(東明聖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 페이지 / 전적]
고구려의 시조(B.C.58~B.C.19). 성은 고(高). 이름은 주몽 또는 추모(皺牟). 해모수의 아들. 동부여의 금와왕의 아들 대소(帶素)의 모해(謀害)를 피하여 졸본에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고구려라 하였다.
동명왕[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고구려의 동명왕
동모[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동무’의 옛말.
동모(同謀)[한양가라 92 페이지 / 전적]
어떤 일을 함께 꾀함.
동모산(東牟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6 페이지 / 전적]
발해의 시조 대조영이 건국의 근거지로 삼은 곳. 지금의 지린성(吉林省) 둔화시(敦化市) 부근이다.
동모춘색(東暮春色)[초한가라 14 페이지 / 전적]
아름다운 봄날 저녁 경치를 이르는 말.
동몽교관(童蒙敎官)[옥산가라 36 페이지 / 전적]
조선조 초에 어린이를 교육시키기 위하여 각 군현(郡縣)에 두었던 교관직. 처음에는 동몽훈도(童蒙訓導)라고 부름. 대전회통(大典會通)에 의하면 매년 사맹삭(四孟朔), 즉 1, 4, 7, 10월의 4회에 걸쳐 등용 시험을 보았으며 임기는 450일이었음.
동몽선습(童蒙先習)[옥셜화답 8 페이지 / 전적]
조선 명종(明宗) 때 학자 박세무(朴世茂)가 저술한 책으로서, 주로 서당에서
동몽선습(童蒙先習)[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중종 때에 박세무(朴世茂)가 쓴 어린이 학습서로 오륜(五倫)의 요의(要義)를 간결하게 서술하고, 중국과 조선의 역대 세계(世系)와 개략적인 역사를 덧붙였다.
동몽선습(童蒙先習)[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중종 때에 박세무(朴世茂)가 쓴 어린이 학습서로 오륜(五倫)의 요의(要義)를 간결하게 서술하고, 중국과 조선의 역대 세계(世系)와 개략적인 역사를 덧붙였다.
동몽선습(童蒙先習)[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명종 때 유학자 박세무(朴世茂)가 서당에 처음 입학한 학동을 위하여 지은 책. 『천자문』을 익히고 난 후의 학동들이 배우는 초급교재.
동몽선습(童蒙先習)[옥설가라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 때 박세무(朴世茂)가 쓴 어린이 학습서. 오륜(五倫)의 요의(要義)를 간결하게 서술하고, 중국과 조선의 역대 세계(世系)와 개략적인 역사를 덧붙였음.
동무[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친구. 늘 친하게 어울리는 사람.
동문(同門)[여자석별가 10 페이지 / 전적]
동기(同期). 형제자매.
동문(東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5 페이지 / 전적]
「東門曲」-古樂府의 挽歌임.
동문(東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9 페이지 / 전적]
「鼓角歌」― 准南子道應篇에 「寗戚欲干齊桓公 因窮無以自達 將任車爲商旅 以商於齊暮宿於 東郭門外 飯牛車下 撃牛角而歌桓公聞之 曰異裁非常人也 命後車載之 因授以政」이라 하였음. 江淹詩에 「寗戚扣角歌 桓公遭乃擧」라는 句가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