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문(東門)[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궁궐의 동쪽문으로 건춘문(建春門)을 말함.
동문생(同門生)[ 1 페이지 / ]
한 승승의 문하생(문하생). 또는, 같은 학교의 출신자.
동문생(同門生)[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4 페이지 / 전적]
한 승승의 문하생(문하생). 또는, 같은 학교의 출신자.
동문에 걸린 눈[녁대가(녁가) 26 페이지 / 전적]
오(吳)나라 합려가 죽은 뒤 아들 부차가 왕위에 올랐는데, 부차는 간신 백비(伯嚭)의 모함을 듣고 오자서에게 자결을 명하였고, 이에 오자서는 자신이 죽으면 오나라가 멸망하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도록 눈알을 도려내서 동문(東門) 위에 걸어달라고 당부하고는 자결하였음.
동민(動民)[합강정가(合江亭歌) 6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을 움직임.
동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1 페이지 / 전적]
「同泮」-泮宮의 同伴인 太學生을 말한 것임.
동반(東班)[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6 페이지 / 전적]
양반 가운데 ‘문반(文班)’을 달리 이르던 말. 궁중의 조회 때 문관은 동쪽에, 무관은 서쪽에 벌여 선 데서 나온 말이다.
동반간(同伴間)[사친가2(思親歌(二)) 17 페이지 / 전적]
어디를 가거나 할 때 함께 짝을 하는 가까운 사이. 동기골육(同氣骨肉) : 형제자매의 육친(肉親).
동반자(同伴者)[대동가(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행동을 할 때 짝이 되어 함께하는 사람.
동방 사창(洞房紗窓)[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신방(新房)에 꾸며놓은 깁으로 바른 사창.신방(新房) : 동방(洞房). 신랑 신부가 거처하도록 새로 꾸민 방.사창(紗窓) : 깁으로 바른 창.
동방 삭(東方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0 페이지 / 전적]
東方朔은 漢의 厭次人인데 字는 曼∝이요 文辭에 雄長하고 ∝諧滑稽를 잘하였다. 武帝時에 累官侍中하여 때로는
동방(東邦)[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한 나라. 우리나라를 일컬음.
동방(洞房)[이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잠자는 방. 동방화촉(洞房華燭)의 준말.동방화촉(洞房華燭) : 신랑이 첫날밤에 신부 방에서 자는 일.
동방(洞房)[낙향이별가 4 페이지 / 전적]
신방(神房), 즉 신랑, 신부가 첫날밤을 치르도록 새로 차린 방을 뜻한다.
동방(洞房)[한별곡 13 페이지 / 전적]
침실.동방화촉(洞房華燭).
동방갑족(東方甲族)[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3 페이지 / 전적]
동방의 으뜸가는 가문.
동방거처(同房居處)[회경가 7 페이지 / 전적]
같은 방에 거하는 것을 말함
동방급제(同榜及第)[초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두 사람의 이름이 동시에 같은 방(榜)에 올랐다는 뜻으로, 대과(大科)에 함께 급제함을 이르는 말.
동방급제(同榜及第)[초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두 사람의 이름이 동시에 같은 방(榜)에 올랐다는 뜻으로, 대과(大科)에 함께 급제함을 이르는 말.
동방급제(同榜及第)[자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같은 때에 대과에 함께 급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