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서(同壻)[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시아주버니의 아내를 이르는 말. 시동생의 아내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동서(同壻)[제주여행가 22 페이지 / 두루마리]
두 사람 이상의 남자 사이에 있어서, 그 사람들의 아내들이 서로 자매 간임으로 하여 맺어지는 관계의 일컬음.또는 두 사람 이상의 여자사이에 있어서, 그 사람들의 남편들이 형제 간임으로 하여 맺어지는 관계의 일컬음.
동서(同壻)[자소가(소가) 10 페이지 / 전적]
두 사람 이상의 남자 사이에 있어서, 그 사람들의 아내들이 서로 자매 간임으로 하여 맺어지는 관계의 일컬음, 또는 두 사람 이상의 여자사이에 있어서, 그 사람들의 남편들이 형제 간임으로 하여 맺어지는 관계의 일컬음.
동서남북(東西南北) 출가(出嫁)하여[사친가2(思親歌(二)) 18 페이지 / 전적]
동서남북 사방 각지로 시집을 가서.
동서반(東西班)[오윤가 18 페이지 / 전적]
동반(東班)과 서반(西班)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동반은 ‘문반(文班)’, 서반은 ‘무반(武班)’이라 함. 궁중의 조회 때 문관은 동쪽에, 무관은 서쪽에 벌여 선 데서 나온 말.
동서부인[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동서부인(同壻婦人). 동서끼리의 부인네들.
동서분간(東西分揀)[경노의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어 같고 그름에 따라 구분하여 알다.
동서사우(東西四隅)[금강산유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동서남북 네 방향. 사방이나 천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서익랑(東西翼廊)[정토발원문(淨土發願文) 21 페이지 / 전적]
대문의 동서 양편에 이어서 지은 행랑.
동서익랑(東西翼廊)[초암가 2 페이지 / 전적]
대문의 동서 양편에 이어서 지은 행랑.
동선령(洞仙嶺)[연행별곡(연별곡) 6 페이지 / 전적]
황해도 봉산(鳳山)과 황주(黃州)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
동성(同姓)[삼강오륜가 서 9 페이지 / 전적]
같은 성(姓)
동성(同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1 페이지 / 전적]
「同聲」―易 乾의 文言에 「同聲相應 同氣相求」라 했음。
동성균(同成均)[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2 페이지 / 전적]
성균관에 속한 종이품 벼슬인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를 말함.
동성왕(東城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백제의 제24대 왕(?~501). 이름은 모대(牟大), 여대(餘大), 마제(麻帝). 고구려의 남하(南下)에 대비하여 신라ㆍ중국 남제(南齊) 등과 화친을 맺고, 493년 신라와 혼인 동맹을 맺었으며 498년에는 탐라국을 복속시켰다.
동성이성(同姓異姓)[ 1 페이지 / ]
같은 성(姓)과 다른 성.
동성이성(同姓異姓)[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8 페이지 / 전적]
같은 성(姓)과 다른 성.
동소남(?邵南)[ 1 페이지 / ]
중국 당나라 안풍(安豊) 출신, 출천지효자(出天之孝子)로 알려짐.
동소남(?邵南)[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5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안풍(安豊) 출신, 출천지효자(出天之孝子)로 알려짐.
동소남(董召南)[츅친서라 13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지극한 효행으로 유명했던 인물로 자세한 행적이 전하지 않고, <흥부가>와 <충효가>에서 효자의 모범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