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소남(董邵南)[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 사람으로 한유(韓愈)가 장수로 추천하였다고 함.
동소남(董邵南)[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 사람으로 한유(韓愈)가 장수로 추천하였다고 함.
동소남(蕫邵南)[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6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안풍(安豊) 출신, 출천지효자(出天之孝子)로 알려짐.
동소남(蕫邵南)[자경별곡 9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안풍(安豊) 출신, 출천지효자(出天之孝子)로 알려짐.
동순시(東巡時)[금강산유람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동쪽으로 순시할 때.
동시월의[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동시월(冬十月)에.
동식(同食)[오륜가라 8 페이지 / 전적]
같이 식사를 함.
동식(同食)[오륜가라 8 페이지 / 전적]
같이 식사를 함.
동실(動實)[신도가(臣道歌) 4 페이지 / 전적]
열매가 남. 결과를 얻음.
동실동실[긔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동그스름하고 토실토실한 모양.
동실동실하다[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동글고 토실토실하다.
동심갈력(同心竭力)[막소가(莫笑歌) 7 페이지 / 전적]
마음을 같이하고, 있는 힘을 다해.
동심육력(同心戮力)[심심가(尋心歌) 36 페이지 / 전적]
한마음으로 서로 힘을 모음.
동심육력(同心戮力)[심심가(尋心歌) 36 페이지 / 전적]
한마음으로 서로 힘을 모음.
동아[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8 페이지 / 전적]
동과(冬瓜).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
동악묘(東岳廟)[연행별곡(연별곡) 20 페이지 / 전적]
연경의 동성(東城)으로 조양문 밖에 있음.동, 서, 남 3면에 패루가 있는데 높고 크며 빛이 나고, 지붕은 녹색 기와를 덮었음.
동안업고[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시간 없고.
동암공(東巖公)[칠여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왕조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유장원(柳長源, ?~?).자는 숙원(叔遠).동암은 그의 호.덕이 높고 제자백가(諸子百家)에 정통하였음.만년에 이상정(李象靖)의 문하에서 학문의 정통을 터득, 저술에 힘썼음.
동암선생(東巖先生)[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후기(1724∼1796)의 학자인 동암 유장원(柳長源)을 이름.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숙원(叔遠), 호는 동암(東巖). 1769년(영조 45) 대산 이상정(李象靖)을 스승으로 섬겨 심학(心學)을 전수 받았으며, 김종덕(金宗德)ㆍ이종수(李宗洙)와 함께 ‘호문삼로(湖門三老)’로 불려짐. 용모가 준수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학문에 전념하여 경학, 제자백가, 예학에 두루 통하였음.
동야(東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2 페이지 / 전적]
「東野哭」―唐 詩人 孟郊의 字는 東野인데 三子를 連産하여 數日이 못가서 다 잃어버리고 老年에 無後를 염려하여 슬피 운 일이 있음. 그 友人韓愈는「孟東野失子」라는 題目으로 詩를 지어 集中에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