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동야[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동야장(冬夜長). 긴 겨울밤.

동양(東陽)[송강집(松江集一)1 153 페이지 / 전적]

신흠(申欽)을 이름.

동여(董呂)[녁대가(녁가) 50 페이지 / 전적]

동탁(董卓)과 여포(呂布)를 가리킴. 초선(貂蟬)은 서시, 왕소군, 양귀비와 함께 중국의 4대 미인 가운데 한 사람인데, 『삼국지연의』에서 왕윤의 수양딸로 등장해 동탁과 여포 사이를 이간질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명함.

동여놓고[벽천가 35 페이지 / 전적]

매어놓고.

동역(同役)[육자박이 5 페이지 / 전적]

함께 일하는 것.

동역(同役)[육자박이 5 페이지 / 전적]

함께 일하는 것.

동역(同役)[육자박이 5 페이지 / 전적]

함께 일하는 것.

동역(董役)[합강정가(合江亭歌) 9 페이지 / 전적]

큰 공사를 감독함. 또는 그 사람.

동영(冬營)[옥산가라 42 페이지 / 전적]

진영(陣營)을 구축하고 겨울을 남. 또는 겨울의 진영. 겨울을 나기 위한 경영(經營).

동영(東瀛)[남은곡 권지단이라 8 페이지 / 전적]

동쪽 바다.

동영(董永)[효행록이라(효록이라) 8 페이지 / 전적]

효행으로 이름난 인물로 한(漢) 나라 때 유향(劉向)이 쓴 ‘효자전(孝子傳)’에 실려 전한다.

동영(董永)[계녀사라 5 페이지 / 전적]

한(漢) 나라 때 사람으로, 매신장부(賣身葬父)의 고사가 전함. 아비가 죽었으나 너무 가난하여 장례를 치를 수 없자 자신이 종으로 팔려가기로 하고 그 삯으로 아비의 장례를 치렀다고 함.

동오[녁대가(녁가) 49 페이지 / 전적]

오(吳)나라. 삼국시대 222년에 손권이 건업(建業)에 도읍하고 강남에 세운 나라. 280년 서진(西晉)에게 멸망하였음. 위촉오 삼국 가운데 가장 늦게 건국되었으나, 가장 오랫동안 존속하였고 가장 나중에 멸망하였음.

동오冬午[ 1 페이지 / ]

겨울에 맞는 낮 겨울의 점심 때

동온하정(冬溫夏凊)[지효가(知孝歌) 9 페이지 / 전적]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동온하정(冬溫夏凊)[효행가(孝行歌) 1 페이지 / 전적]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동왕극락(同往極樂)[교몽가 4 페이지 / 전적]

극락(極樂)은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음.

동요(搖動)[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흔들리고, 혼란스럽게 움직임.

동요(搖動)[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7 페이지 / 전적]

흔들리고, 혼란스럽게 움직임.

동요(童謠) 들어 정심하면 일심성도(一心成道) 못할쏘냐[부부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삼십육궁이 모두 다 봄날임. 삼십육궁은 중국 한대(漢代) 궁전의 수로, 널리 제왕의 궁전을 일컫는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