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동인협공(同寅協恭)[명륜가(明倫歌) 44 페이지 / 전적]

(신하의 도리로) 함께 공경함.

동일[육십회갑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딸의 이름

동일(冬日)[자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겨울 날.

동임[동상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동료(같은 직장이나 같은 부문에서 함께 일하는 사람)’의 옛말.

동자(瞳子)부처[자치가라 15 페이지 / 두루마리]

눈동자에 비쳐 나타난 사람의 형상.

동자(童子)[권왕가 6 페이지 / 전적]

① 중이 될 뜻을 가지고 절에 와서 불교를 배우면서도 아직 출가하지 않 은 사내아이. ② 여래의 왕자이고 음욕이 없는 아이와 같다는 뜻에서, 보살을 달리 이 르는 말.

동자(童子)[청춘사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린 아이.심부름꾼.

동자부쳐[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동자(童子)부처. 아이부쳐.

동자육칠(童子六七)[화전가2 5 페이지 / 전적]

아이들 여섯 일곱 명.

동작(東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 페이지 / 전적]

「東作」-봄이 오면 동녁들에서 農事를 始作한다는 뜻으로 書經堯典에「寅賔出日 平秩東作」이란 대문이 있음. 平秩은 秩序를 平均히 한다는 말임.

동작강[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서울 한강의 일부

동작대(銅雀坮)[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위(魏)의 조조가 만든 전망대. 청동으로 만든 봉황을 옥상에 장식한 것으로, 하남성(河南省) 임장현(臨獐縣)에 있었음.

동작대(銅雀坮)[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삼국시대 위(魏)의 조조가 만든 전망대. 청동으로 만든 봉황을 옥상에 장식한 것으로, 하남성(河南省) 임장현(臨獐縣)에 있었음.

동작대(銅雀臺)[거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 건안 15년 겨울에 조조가 업(鄴)의 서북쪽에 지은 누대(樓臺).구리로 만든 봉황으로 지붕 위를 장식한 데에서 생긴 말이다.

동작대(銅雀臺)[아림가(娥林歌) 17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 건안 15년 겨울에 조조가 업(鄴)의 서북쪽에 지은 누대(樓臺). 구리로 만든 봉황으로 지붕 위를 장식한 데에서 생긴 말이다.

동장(銅章)[송강집(松江集一)1 100 페이지 / 전적]

동어부(銅魚符)를 말하는 것인데 벼슬아치의 신표임.

동전(東銓)[송강집(松江集六)6 104 페이지 / 전적]

이조(吏曹)

동전(洞前)[축원하온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을 앞.

동절(冬節)[사친가(事親歌) 37 페이지 / 전적]

겨울철.

동절(冬節)[자직가(子職歌) 2 페이지 / 전적]

겨울철.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