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포(同抱)[한양가라 5 페이지 / 전적]
서로 껴안음.
동풍[ 1 페이지 / ]
東風. 봄바람.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동풍(東風)[사미인곡 4 페이지 / 전적]
봄바람.
동풍(東風)[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곧 봄바람을 말한다.
동풍(東風)[얼씨고나 8 페이지 / 전적]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봄바람.샛바람.
동풍(東風)[얼씨고나 8 페이지 / 전적]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봄바람.샛바람.
동풍(東風)[얼씨고나 8 페이지 / 전적]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봄바람.샛바람.
동풍(東風)[얼씨고나 8 페이지 / 전적]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봄바람.샛바람.
동풍(東風)[합셩가라 2 페이지 / 전적]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봄바람.샛바람.
동풍(東風)에 도로장(道路長)하니[슈양가 3 페이지 / 전적]
동풍에 도로가 같으니.
동풍사일초강심(東風斜日楚江深)하니[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4 페이지 / 전적]
동풍 불고 해는 뉘엿뉘엿 지는데 초강은 깊으니.
동풍삼월(東風三月)[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봄바람 부는 삼월.
동풍삼월(東風三月)[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봄바람 부는 삼월.
동풍삼월(東風三月)[막소가(莫笑歌) 15 페이지 / 전적]
봄바람이 부는 삼월.
동학(東學)[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9 페이지 / 전적]
19세기 중엽에 탐관오리의 수탈과 외세의 침입에 저항하여 수운 최제우가 세상과 백성을 구제하려는 뜻으로 창시한 민족 종교.
동학(東學)[대호지로가(호지로가) 9 페이지 / 전적]
서학(西學)인 천주교(天主敎)에 반대(反對)하여, 최제우(崔濟愚)가 창도한 종교(宗敎).제3대 교주 손병희 때 천도교(天道敎)로 이름을 바꿈.인간(人間)이 한울님의 복체(複體)라는 인내천(人乃天)의 진리(眞理)를 전개(展開), 무위이화(無爲而化)의 원리(原理)를 내걸고, 유교(儒敎)ㆍ불교(佛敎)ㆍ도교(道敎)를 절충(折衷)한 것을 종지(宗旨)로 삼았음.
동학(東學)[대호지로가(호지로가) 9 페이지 / 전적]
서학(西學)인 천주교(天主敎)에 반대(反對)하여, 최제우(崔濟愚)가 창도한 종교(宗敎).제3대 교주 손병희 때 천도교(天道敎)로 이름을 바꿈.인간(人間)이 한울님의 복체(複體)라는 인내천(人乃天)의 진리(眞理)를 전개(展開), 무위이화(無爲而化)의 원리(原理)를 내걸고, 유교(儒敎)ㆍ불교(佛敎)ㆍ도교(道敎)를 절충(折衷)한 것을 종지(宗旨)로 삼았음.
동학(東學)[대호지로가(호지로가) 9 페이지 / 전적]
서학(西學)인 천주교(天主敎)에 반대(反對)하여, 최제우(崔濟愚)가 창도한 종교(宗敎).제3대 교주 손병희 때 천도교(天道敎)로 이름을 바꿈.인간(人間)이 한울님의 복체(複體)라는 인내천(人乃天)의 진리(眞理)를 전개(展開), 무위이화(無爲而化)의 원리(原理)를 내걸고, 유교(儒敎)ㆍ불교(佛敎)ㆍ도교(道敎)를 절충(折衷)한 것을 종지(宗旨)로 삼았음.
동학(東學)[대호지로가(호지로가) 9 페이지 / 전적]
서학(西學)인 천주교(天主敎)에 반대(反對)하여, 최제우(崔濟愚)가 창도한 종교(宗敎).제3대 교주 손병희 때 천도교(天道敎)로 이름을 바꿈.인간(人間)이 한울님의 복체(複體)라는 인내천(人乃天)의 진리(眞理)를 전개(展開), 무위이화(無爲而化)의 원리(原理)를 내걸고, 유교(儒敎)ㆍ불교(佛敎)ㆍ도교(道敎)를 절충(折衷)한 것을 종지(宗旨)로 삼았음.
동학(東學)[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4 페이지 / 전적]
19세기 중엽, 탐관오리의 수탈과 외세의 침입에 저항하여 수운 최제우가 세상과 백성을 구제하려는 뜻으로 창시한 민족 종교로 유불도 삼교를 흡수하고 인내천 사상을 기본 교리로 삼아 민중으로부터 크게 환영을 받아 교세가 확장되었으나,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이후에 정부의 탄압을 받았고, 제3대 교주 손병희 때 천도교로 이름을 바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