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두 기운이[면앙집(俛仰集 一)1 12 페이지 / 전적]
陰과 陽을 이름
두 목지(杜牧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92 페이지 / 전적]
「杜牧之」-唐 萬年人인데 字는 牧之요, 號는 樊川이다.
두 부인(婦人)[초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한림의 또 다른 두 처로, 후에 정숙부인에 봉해짐.
두 부인(婦人)[초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한림의 또 다른 두 처로, 후에 정숙부인에 봉해짐.
두 양반(兩班)[혼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작품에서 ‘두 양반’은 남편과 시동생을 가리킴.
두 왕비[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7 페이지 / 전적]
의인왕후(懿仁王后, 1555~1600)와 인목왕후(仁穆王后, 1584~1632)를 말함.
두 왕자(王子)[송강집(松江集二)2 155 페이지 / 전적]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
두 자미(杜子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1 페이지 / 전적]
「杜陵稱聖」-杜甫를 말함. 杜甫의 奉先詠懷詩에「杜陵有布衣老大意轉拙」이란 글구가 있는데 註에「杜陵」은 古代의 杜伯國인데 韓宣帝를 이에 葬하여 杜陵이라 稱하게 되었다. 杜陵의 東南十餘里에 또한 陵이 있어 許后를 葬하여 少陵이라 稱하며 그 東은 곧 杜曲이요 陵의 西는 바로 杜甫의 舊宅이다 대개 少陵野老나 杜陵이라 自稱한 것은 이때문이다」라 했음. 「稱聖」은 酒의 淸聖濁賢을 말한 것임.
두가랑(杜家郞)[한흥가라 27 페이지 / 전적]
두추랑(杜秋郞). 중국 당(唐) 때 금릉(金陵)의 여인으로 이기(李錡)의 첩. 이기가 죽은 뒤에 왕궁에 들어가 헌종(憲宗)의 총애를 받았다.
두가랑(杜家郞)[한흥가라 27 페이지 / 전적]
두추랑(杜秋郞). 중국 당(唐) 때 금릉(金陵)의 여인으로 이기(李錡)의 첩. 이기가 죽은 뒤에 왕궁에 들어가 헌종(憲宗)의 총애를 받았다.
두가랑(杜家郞)[한흥가라 27 페이지 / 전적]
두추랑(杜秋郞). 중국 당(唐) 때 금릉(金陵)의 여인으로 이기(李錡)의 첩. 이기가 죽은 뒤에 왕궁에 들어가 헌종(憲宗)의 총애를 받았다.
두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1 페이지 / 전적]
「岸市」―岸幘과 같은 것인데 그 額을 드러냈다는 뜻임. 唐書 宋璟傳에「帝怒 岸巾出側門」 이라 했음.
두건(頭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1 페이지 / 전적]
「接籬」― 頭巾인데 곧 白接籬임.晋人 山簡이 醉하면 白接籬를거꾸로 쓰곤 했으므로 이를 借用한 것임. 李伯의 襄陽歌에 「落日欲沒峴山西 倒著接籬花下迷」라는 句가 있음.
두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4 페이지 / 전적]
「蜀魂」-杜鵲의 略稱. 華陽國志에 『周失綱紀 蜀王杜宇 稱帝曰望帝 爲蜀除水患有功 後禪位 升西山隱焉 時適二月子規鳴 因名子規曰杜宇 曰望帝』라 했고, 成都記에『望帝의 魂이 化하여 새가 되었기 때문에 蜀魂이라 또는 杜鵲이라 이름했다』라 했음.
두견(杜鵑)[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17 페이지 / 전적]
두견이. 진달래.
두견(杜鵑)[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두견이. 진달래.
두견(杜鵑)[한양가라 27 페이지 / 전적]
소쩍새.
두견(杜鵑)[낙향이별가 9 페이지 / 전적]
두견새.
두견(杜鵑)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두견과에 속하는 새.
두견(杜鵑)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두견과에 속하는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