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두견화(杜鵑花)[리행소챙가 20 페이지 / 전적]
진달래꽃.
두견화(杜鵑花)[초원동낙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진달래.
두견화(杜鵑花)[만수가(만슈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진달래꽃.
두견화(杜鵑花)[조심가라 3 페이지 / 전적]
진달래꽃.
두견화(杜鵑花)[이별가라 23 페이지 / 전적]
진달래꽃.
두견화(杜鵑花)[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진달래 꽃.
두견화(杜鵑花)[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진달랫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다. 봄에 엷은 분홍색 꽃이 잎보다 먼저 난다.
두견화(杜鵑花)[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진달랫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으로 이른 봄에 핀다.
두견화(杜鵑花)[유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진달래꽃.
두견화(杜鵑花)[옥산가라 44 페이지 / 전적]
진달래.
두견화(杜鵑花)[가야희인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진달래꽃.
두견화(杜鵑花)[허후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진달래를 이른다.
두견황리(杜鵑黃鸝)[원유가 6 페이지 / 전적]
두견새와 꾀꼬리.
두곡(斗穀)[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8 페이지 / 전적]
말곡식.
두공부(杜工部)[송강집(松江集七)7 143 페이지 / 전적]
두보(杜甫)를 이름
두공부(杜工部)[셔유곡 15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두보(杜甫)를 말함. 공부(工部)는 관명(官名).
두공부(杜工部)[녁대가(녁가) 58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 두보(杜甫, 712~ 770).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ㆍ공부(工部)ㆍ노두(老杜). 율시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 사실적 묘사 수법 따위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하였음.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의 최고 시인으로 꼽힘.
두군(竇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2 페이지 / 전적]
「竇君獎」-杜甫의 送竇侍御入奏行에「炯如一段淸凊出萬壑 置在迎風寒露之玉壼 蔗漿歸厨 金盌凍 洗滌煩熱足以寧君軀」라 하였음。
두기공(杜祈公) 수양(睢陽)[송강집(松江集二)2 123 페이지 / 전적]
두 기공은 송(宋)나라 때의 어진 재상으로 남도(南都)에 퇴거하였다. 史要에「退南都第宅卑陋居之裕如也」
두꺼비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8 페이지 / 전적]
「蟾兎」―俗에서 傳하기를 月中에 蟾蜍와 玉兎가 있다하여 月의 借稱이 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