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동학(東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9 페이지 / 전적]
①서울 사학(四學)의 하나. 동부(東部)에 있었음 ②서학(西學)인 천주교(天主敎)에 반대(反對)하여, 최제우(崔濟愚)가 창도한 종교(宗敎). 제3대 교주 손병희 때 천교도(天敎道)로 이름을 바꿈. 인간(人間)이 한울님의 복체(複體)라는 인내천(人乃天)의 진리(眞理)를 전개(展開), 무위이화(無爲而化)의 원리(原理)를 내걸고, 유교(儒敎)ㆍ불교(佛敎)ㆍ도교(道敎)를 절충(折衷)한 것을 종지(宗旨)로 삼았음.
동학사(東鶴寺)[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계룡산에 있는 절. 마곡사(麻谷寺)의 말사로 724년(성덕왕 23) 상원조사(上願祖師)가 암자를 지은 곳에 회의화상(懷義和尙)이 절을 창건해 상원사(上願寺)라 했다.
동한(東漢)[가사애부가(가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후한(後漢).
동한백설(凍寒白雪)[자치가 30 페이지 / 전적]
눈내리고 얼어붙을 정도로 심한 추위.
동합(東閤)[송강집(松江集三)3 35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공손홍(公孫弘)이 승상(丞相)이 되자 궁(宮)의 동쪽 소문(小門)인 동합(東閤)을 열고 어진 선비를 맞아들였으므로 재상(宰相)이 있는 곳을 동합이라 칭함. 동각(東閣)이라고도 함.
동해동락[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8 페이지 / 전적]
동고동락(同苦同樂)을 잘못 쓴 것임.
동해부상(東海扶桑)[초당의 봄꿈 6 페이지 / 전적]
동쪽 바다의 해가 뜨는 곳에 있다고 하는 신령스러운 나무, 또는 그것이 있다는 곳.
동해수(東海水)[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동해의 물 또는 바다.
동해수(東海水)[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동해의 물 또는 바다.
동행(同行)[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함께 부역(賦役)을 갔던 동료(同僚)
동향동서(同鄕同壻)[답긔슈가 5 페이지 / 전적]
고향이 같은 동서.
동헌(洞憲)[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6 페이지 / 전적]
향약으로 마련하여 지키던 마을의 규약.
동헌방(東軒房)[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동헌 안의 방을 이르던 말.
동혈(同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8 페이지 / 전적]
「同穴」―함께 묻힌다는 뜻임. 詩經 王風大車에「穀則異室 死則同穴」이란 句가 있음.
동혈되여[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동혈(同穴)되어. 같은 무덤에 묻혀. 한데 묻혀.
동형제(同兄弟)[막소가(莫笑歌) 7 페이지 / 전적]
같은 형제들.
동호(東湖)[면앙집(俛仰集 一)1 32 페이지 / 전적]
東湖=東湖讀書堂
동홍(冬烘)가[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4 페이지 / 전적]
동홍선생의 띠가. ‘동홍(冬烘)’은 ‘동홍선생’으로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을 뜻함.
동화(東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4 페이지 / 전적]
「幽貞」 ― 幽人의 貞吉을 말함. 易 歸妹에 「利幽人之貞」이라 하였음.
동화은[셕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동화색(桐花色)은. 오동나무 꽃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