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배받이[답긔슈가 7 페이지 / 전적]
소에서 첫째 요추 뼈로부터 마지막 요추 뼈까지를 이름. 치마양지. 소의 양지에 포함되는 부위.
배받이[회조가 1 페이지 / 전적]
소에서 첫째 요추 뼈로부터 마지막 요추 뼈까지를 이름. 치마양지. 소의 양지에 포함되는 부위.
배별(拜別)[사친가2(思親歌(二)) 9 페이지 / 전적]
공경하는 사람과 작별하는 것.
배복(拜伏)[이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절하여 엎드리는 것.
배복지걸[팔역가(八域歌) 43 페이지 / 전적]
땅에 엎드려 애걸함
배부(配夫)[그리져리구경하고 17 페이지 / 전적]
배필(配匹)이 되는 지아비
배비(配備)[회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배치하여 설비하다.
배사(倍蓰)[여야리실볼지어다 5 페이지 / 전적]
‘배’는 한 갑절, ‘배’는 다섯 갑절, 곧 갑절 이상 댓 곱절 가량.
배사(拜謝)[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존경하는 웃어른을 공경히 받들며 감사함.
배사(拜謝)[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존경하는 웃어른을 공경히 받들며 감사함.
배사(拜賜)[사군가(事君歌) 6 페이지 / 전적]
삼가 공손(恭遜)히 받음.
배사친(倍思親)[답사향곡(답향곡) 4 페이지 / 전적]
당나라 시인 왕유(王維)의 시 <九月九日憶山東兄弟>에서 “매봉가절배사친(每逢佳節倍思親, 매번 명절이 되면 가족생각이 곱절로 나네)라는 구절.
배삭추봉(排朔秋捧)[민탄가(民歎歌) 3 페이지 / 전적]
가을에 징수할 결세(結稅)와 잡세(雜稅)를 한 달에 얼마씩 여러 달에 걸쳐 나누어 걷음.
배상(排床)[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상 위에 차례로 늘여 놓음.
배상(賠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 페이지 / 전적]
남의 권리를 침해한 사람이 그 손해를 물어 주는 일.
배석(拜席)[두껍전이라(겁젼이라) 13 페이지 / 전적]
혼례를 행하는 곳에 마련된 자리.
배석(拜席)[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3 페이지 / 전적]
혼례를 행하는 곳에 마련된 자리.
배석대(拜席臺)[금강산유람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의식(儀式)에서, 절을 하는 곳에 까는 자리. 또는 절을 하는 곳.
배설(排泄)[운청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안에서 밖으로 새어나가게 함.
배설(排設)[츅친서라 9 페이지 / 전적]
잔치나 연회에 물건을 놓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