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백관(百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8 페이지 / 전적]
「百官富」 ―論語 子張篇에 「夫子之墻 數仭不得其門而入 不見宗廟之美 百官之富」라 하였음 여기는 晦庵詩中의 鉅麗를 百官之富에 비유하여 쓴것임.
백관(百官)[한양가라 16 페이지 / 전적]
만조백관(滿朝百官)의 줄임말로 모든 벼슬아치를 말함.
백관(百官)[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1 페이지 / 전적]
모든 벼슬아치.
백광홍(白光弘,1522-1556)[석천집(石川集二-三)2-3 2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선조 때의 문인. 호는 기봉(岐峯)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의 형이다. 시문(詩文)에 능했으며 평안도 평사(平安道評事)를 사직하고 돌아올 때 우리말로 쓴 가사(歌辭) 관서별곡(關西別曲)을 지었다.
백광훈(白光勳)[석천집(石川集二-五)2-5 166 페이지 / 전적]
1537-1582. 호는 옥봉(玉峯). 자는 창경(彰卿).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한 사람.
백광훈(白光勳,1537-1582)[석천집(石川集二-三)2-3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선조 때 시인, 자는 창경(彰卿), 호는 옥봉(玉峰)으로 박순(朴淳)의 문인이다. 1564년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산수를 즐기면서 시서(詩書)에 열중했다. 당시의 최경창(崔慶昌),이달(李達)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이라 불린다.
백구(白駒)[권왕가 31 페이지 / 전적]
흰 망아지. 현자(賢者)가 타는 말을 두고 이름.
백구(白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3 페이지 / 전적]
「白駒」― 詩經 小雅 白駒에 「皎皎白駒 食我場苗 縶之維之 以永今朝 所謂伊人 於焉逍遙」라는 章이 있는데 小序에 「이 詩는 賢者의 떠남을 挽留할 길이 없어 지은 것이다」라하였음
백구(白鷗)[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0 페이지 / 전적]
흰 갈매기.
백구(白鷗)[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흰갈매기.
백구(白鷗)[로인가 16 페이지 / 전적]
갈매기.
백구(白鷗)[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흰갈매기.
백구(白鷗)[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16 페이지 / 전적]
흰 갈매기.
백구(白鷗)[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갈매깃과에 속한 바닷새..
백구(白鷗)[선유가라 16 페이지 / 전적]
흰 갈매기.
백구(白鷗)[한별곡 15 페이지 / 전적]
갈매기과에 딸린 물새.몸이 비둘기보다 좀 크고 빛은 대체로 흰데, 머리와 등은 푸른 잿빛, 부리와 다리는 황록색이며, 날아 다니는 힘이 강(强)하고 물고기를 잘 잡아먹으며 발에 물갈퀴가 있음.
백구(白鷗)[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갈매기.
백구(白鷗)[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갈매기.
백구(百口)[우애가(友愛歌) 4 페이지 / 전적]
많은 가족.
백구白鷗[ 1 페이지 / ]
흰 갈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