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백가서(百家書)[춘몽가(츈몽가) 8 페이지 / 전적]
여러 학자가 지은 여러 가지 저서.
백가서(百家書)[춘몽가(츈몽가) 8 페이지 / 전적]
여러 학자가 지은 여러 가지 저서.
백가시서(百家詩書)[역대삼재가라 7 페이지 / 전적]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여러 학파(學派)의 총칭(總稱). 제자(諸子)가 백 팔십 구 종(種)이나 되는 데, 백가(百家)라 함은 거성수(擧成數)를 일컬음. 여러 사람의 문집과 글.
백가어(百家語)[권학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의 제자백가(諸子百家)의 말,주장 또는 저서. 제자백가서(諸子百 家書).
백각사(百各司)[거창가라 6 페이지 / 전적]
서울 안의 모든 관아를 통틀어 이르던 말.
백각사(百各司)[아림가(娥林歌) 6 페이지 / 전적]
서울 안의 모든 관아를 통틀어 이르던 말.
백갈(白蝎)[흥기도덕가(興起道德歌) 33 페이지 / 전적]
흰 벌레.
백강(伯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7 페이지 / 전적]
「伯康」-宋人 司馬旦의 字인데 바로 司馬光의 兄임 司馬光이 그 兄과 友愛가 敦篤하였으므로 世人이 남의 兄을 들어 伯康이라 指稱함. 丁熿의 兄 丁煥의 號는 檜山이요 登第하여 官은 成均典籍으로 자못 名聲을 떨쳤음.
백거이(白居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67 페이지 / 전적]
「白居易 」-唐 詩人인데 字는 樂天임.
백결선생(百結先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7 페이지 / 전적]
신라 자비왕 때의 거문고의 명인(?~?)으로 평생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 예술에 전념하였으며, 빈처(貧妻)를 위하여 <대악(碓樂)>이라는 곡조를 남겼다.
백계무책(百計無策)[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방법을 다 써도 해결하지 못하다.
백계무책(百計無策)[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방법을 다 써도 해결하지 못하다.
백곡(百穀)의 이삭 패고[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0 페이지 / 전적]
이 어구는 가사의 원문에 없는 구절인데, 이본에 의하여 보충한 내용이다. 다음의 어구 ‘여물 들어 고개 숙여’ 만으로는 전후의 뜻이 연결되지 않음으로 미루어 잘못 전해진 것으로 판단되어 보충한 어구이다.
백곡선생(栢谷先生) 정곤수(鄭崐壽)[한양가라 65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 문신(1538-1602)으로 강원도와 황해도 관찰사를 지내면서 대기근(大飢饉)을 구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중국 명나라에 가서 구원병을 청하여 오는 등 큰 공을 세웠다.
백곡양양(百穀穰穰)[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곡식이 많고 넉넉한 모양.
백곡양양(百穀穰穰)[권농가(권롱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모든 곡식이 많고 넉넉한 모양.
백곡풍등(百穀豊登)[사친가1(思親歌(一)) 8 페이지 / 전적]
온갖 곡식이 아주 잘 되는 것.
백골(白骨)[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의 몸이 썩고 남은 뼈.
백골(白骨)[한양가라 24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몸이 썩고 남은 뼈.
백골(白骨)[한양가라 35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몸이 썩고 남은 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