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변마진(弁馬辰)[옥설가라 8 페이지 / 전적]
고대국가 시절 변한, 마한, 진한을 말함.
변마진(弁馬辰) 삼한국(三韓國)[옥셜화답 6 페이지 / 전적]
상고시대에 한반도 남부에 자리잡고 있던 변한·마한·진한 등의 삼한국.
변만[권왕가 15 페이지 / 전적]
편만(遍滿)의 변한 말. 널리 차서 그득함.
변무주(辨誣奏)[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9 페이지 / 전적]
무함을 변명하는 주문(奏文). 조선을 개국한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이인임(李仁任 ; 李仁人으로 잘못 표시)의 아들이며, 고려의 네 임금을 시해하였다고「대명회전」에 기록된 것을 바로잡기 위하여 올린 주문. 제목 아래에 이 변무주로 인하여 종계(宗系)가 바로잡아졌다고 부기(附記)하고 있으나, 실제는 이후에도 계속되다가 선조(宣祖) 때에 이르러 비로소 수정되었다
변미(變味)함에 부지(不至)하며[시양병가(侍養病歌) 1 페이지 / 전적]
변함에 이르도록 먹지 아니하며.
변백(辨白)[반심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사리를 따져 똑똑히 밝힘.
변변치 못한 제물과 제사[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3 페이지 / 전적]
박전 비사(薄奠菲祀).
변변컨만[옥산가라 25 페이지 / 전적]
됨됨이나 생김새 따위가 흠이 없고 어지간함. 제대로 갖추어져 충분함. 지체나 살림살이가 남보다 떨어지지 아니함.
변복(變覆)[안심경찰가 3 페이지 / 전적]
뒤집혀 달라짐.
변복차(變復次)[경화가(警和歌) 8 페이지 / 전적]
변화하고 회복되는 순서.
변복차(變復次)[경화가(警和歌) 8 페이지 / 전적]
변화하고 회복되는 순서.
변상(變喪[인여가(引轝歌) 8 페이지 / 전적]
①변고로 인하여 생긴 상사(喪事). ②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
변상(變喪[인여가(引轝歌) 8 페이지 / 전적]
①변고로 인하여 생긴 상사(喪事). ②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
변상(變喪[인여가(引轝歌) 8 페이지 / 전적]
①변고로 인하여 생긴 상사(喪事). ②자손이 부모나 조부모보다 먼저 죽는 일.
변색(變色)[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색깔이 변함.
변색(變色)[충효가(忠孝歌) 13 페이지 / 전적]
얼굴빛을 바꿈. 싫은 내색을 함.
변색(變色)[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8 페이지 / 전적]
얼굴빛을 바꿈.
변성 대왕(變成大王)[회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시왕(十王)의 하나
변성대왕(變成大王)[일회심곡(一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변성대왕은 명부에서 죽은 자가 여섯 번째 맞이하는 칠일간의 일을 관장하는 관리. 앞의 오관대왕과 염라대왕 앞에서 업칭에 죄를 달고 업경에 죄를 비추어 재판을 받고도 죄가 남은 사람이 있으면 지옥에 보내 벌을 받게 하는 일을 맡으며, 사람들에게 악을 멈추고 선을 행하도록 권장함.
변성대왕(變成大王)[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4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죽은 지 6·7일(42일) 째 되는 날에 심판을 맡은 지옥의 대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