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변성대왕(變成大王)[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중 여섯 번째의 왕으로 죽은 자가 여섯 번째 맞이하는 칠일 간의 일을 관장. 오관대왕과 염라대왕 앞에서 업칭에 죄를 달고 업경에 죄를 비추어 재판을 받고도 죄가 남은 사람이 있으면 지옥에 보내 벌을 받게 하는 일을 맡으며, 특히 선행을 하도록 권장함.

변시가량[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변씨(氏) 가랑(佳郞). 변씨의 좋은 신랑감.

변실 내외[육십회갑가사 5 페이지 / 두루마리]

변씨 내외. 사위와 딸.

변안렬(邊安烈)[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0 페이지 / 전적]

호는 대은(大隱). 원래 원나라 선양(瀋陽) 출신이나, 원나라 말년의 병란 때 공민왕을 따라 고려로 왔다. 1361년(공민왕 10) 안우(安祐)를 따라 홍건적을 격퇴해 2등 공신으로 판소부감사(判小府監事)가 되었다.1389년(공양왕 1) 최영의 생질이며 대호군(大護軍)인 김저(金佇)가 우왕의 부탁을 받고 이성계를 죽이려다 발각되어 옥에 갇혔는데, 변안렬은 영삼사사로서 이에 연루되어 관직을 삭탈당하고 한양으로 귀양갔다가 1390년 유배지에서 사형을 당했다

변옥(卞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4 페이지 / 전적]

「卞玉」― 즉 卞和氏의 璞玉임. 見上

변월(邊月)[허후전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변방을 비추는 달.

변음변양(變隂變陽)[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3 페이지 / 전적]

음으로 변하고 양으로 변하다.

변이중(邊以中)[백세보중(百世葆重 二-二)2-2 3 페이지 / 전적]

장성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전라도 소모어사(召募御史)가 되어 군량과 병기를 수습한 뒤 수원에 주둔하면서 적에 대비하였다. 화차(火車)를 제조하여 권율의 행주산성 싸움에 크게 도움을 주었고 이후로도 조도사(調度使)․독운사(督運使)등의 직임으로 군량 수십만 석을 거두어 명군(明軍)에 조달하는 일을 하였다

변전(遍奠)[송강집(松江集三)3 81 페이지 / 전적]

여러 위(位)에 올리는 전제(奠祭).

변족[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변족(邊族). 문벌이 좋은 집안에서 쇠퇴하게 된 겨레붙이.

변지(胼胝)[권학가 7 페이지 / 전적]

더께, 굳은살

변지(邊地)[자책가(가) 19 페이지 / 전적]

극락정토의 변계(邊界)의 땅.

변천(變天)[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5 페이지 / 두루마리]

구천의 하나. 북동쪽의 하늘을 이른다.

변천(變天)[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5 페이지 / 두루마리]

구천의 하나. 북동쪽의 하늘을 이른다.

변천(變遷)[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세월이 흐름에 따라 바뀌고 변함.

변천(變遷)[경노의심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하여 바뀜.

변천(變遷)[유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세월이 흐름에 따라 바뀌고 변함.

변천예지(變天例地)[구산가(求山歌) 4 페이지 / 전적]

하늘에서 변하여 땅에 이름.

변천하(變天下)[권왕가 48 페이지 / 전적]

북동쪽의 하늘 아래. 변천(變天) : 구천(九天)의 하나인 북동쪽의 하늘을 이르는 말.

변통(變通)[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6 페이지 / 전적]

일의 형편에 따라 막힘없이 적절하게 잘 처리하는 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