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병력(竝力)[김씨효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힘을 한데 모음.

병뢰(甁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0 페이지 / 전적]

「甁罍」―缾은 작고 罍는 큰것、둘다 물그릇으로 詩經 小雅蓼莪篇의 『甁之罄矣 惟罍之恥』의 註에 보이는데、여기는 父母가 飮酒를 경계했다는 뜻에서 쓴 것임。

병류(甁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1 페이지 / 전적]

「甁罍」- 缾罄罍恥의 略語임. 詩經 小雅 蓼莪에「缾之罄矣維罍之恥」라는 句가 있는데 傳에「缾은 작고 罍는 큰데 다 酒器로서 서로 資하니 마치 父母가 자식과 서로 의지하여 살아가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缾이 다 비면 바로 罍의 수치요. 父母가處所를 얻지 못하면 바로 자식의 罪責이다」라 하였음.

병립(竝立)[옥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나란히 섬.

병마사(兵馬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둔 정삼품 무관 벼슬로 성종 8년(989)에 처음으로 북방(北方)의 동계(東界)와 서계(西界)에 두어 그 지방의 군권(軍權)을 전담하게 하였다.

병마사(兵馬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5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둔 정삼품 무관 벼슬로 성종 8년(989)에 처음으로 북방(北方)의 동계(東界)와 서계(西界)에 두어 그 지방의 군권(軍權)을 전담하게 하였다.

병만(邴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5 페이지 / 전적]

漢書에 「琅∝邴曼容이 養志自修하여 벼슬을 하되 六百石을 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문득 謝免하여 떠나갔다」하였음.

병명(並命)[광애가(廣愛歌) 5 페이지 / 전적]

나란히 서서 명령을 받음.

병모[축원하온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빙모(聘母). 장모.

병발(倂發)[오륜가라 20 페이지 / 전적]

두 가지 이상(以上)이 한꺼번에 일어남.

병발(倂發)[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두 가지 이상의 일이 한꺼번에 일어남. 또는 그 일.

병발(倂發)[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두 가지 이상의 일이 한꺼번에 일어남. 또는 그 일.

병방[한양가라 58 페이지 / 전적]

미상.

병방(丙方)[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 페이지 / 전적]

이십사방위(二十四方位)의 하나. 정남에서 동으로 15도의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을 말함.

병방(兵房)[심심가(尋心歌) 1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각 지방 관아에 속한 육방(六房) 가운데 병전(兵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부서. 지방의 군사 훈련, 경찰 업무, 군역(軍役) 부과, 성곽ㆍ도로ㆍ봉수의 관리 따위를 맡아보았음.

병방(兵房)[심심가(尋心歌) 1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각 지방 관아에 속한 육방(六房) 가운데 병전(兵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부서. 지방의 군사 훈련, 경찰 업무, 군역(軍役) 부과, 성곽ㆍ도로ㆍ봉수의 관리 따위를 맡아보았음.

병방자방(丙方子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남방과 북방. 병방(丙方)은 남방, 자방(子方)은 북방.

병방자방(丙方子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남방과 북방. 병방(丙方)은 남방, 자방(子方)은 북방.

병방자방(丙方子方)[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남방과 북방. 병방(丙方)은 남방, 자방(子方)은 북방.

병법[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원숭이 형상을 한 군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