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별회(別懷)[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별할 때에 품은 슬픈 회포.

별회(別懷)[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별할 때에 마음속에 품은 슬픈 회포.

별회(別懷)[추풍감곡(秋風感曲) 4 페이지 / 전적]

이별할 때에 품은 슬픈 회포.

별회(別懷)[후원초당 봄이듯이 6 페이지 / 두루마리]

이별할 때에 마음속에 품은 슬픈 회포.

별후상봉(別後相逢)[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1 페이지 / 전적]

헤어진 뒤에 다시 만남.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9 페이지 / 전적]

「非病相踈」― 唐詩人 孟浩然의 「多病故人踈」란 글구를 반대로쓴 것임.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8 페이지 / 전적]

「壺中日月」―道家의 雲笈七籤에 「施存이 大丹의 道를 배우고서 張申을 만나 雲臺治官이 되었는데 항상 달아놓은 五升들이의 큰 병이 天地로 化하여 日月이 그속에 있고 밤이면 들어가 자곤했다」라 하였음. 여기는 병속의 술로 산다는 뜻으로 쓴 것임.

병갑(兵甲)[녁대가(녁가) 35 페이지 / 전적]

병기(兵器)와 갑옷투구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무장한 병사.

병거(竝居)[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 곳에서 함께 삶.

병기진보(兵器進步)[근농가(勤農歌) 5 페이지 / 전적]

전쟁에 쓰는 기구만 더 늘어남.

병기진보(兵器進步)[경세가(警世歌) 1 페이지 / 전적]

전쟁에 쓰는 기구만 더 늘어남.

병독(病毒)[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병의 근원(根源)이 되는 독기(毒氣).

병독(病毒)[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병의 근원(根源)이 되는 독기(毒氣).

병독(病毒)[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병의 근원(根源)이 되는 독기(毒氣).

병독(病毒)[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병의 근원(根源)이 되는 독기(毒氣).

병독(病毒)[심시천인설(尋時天人說) 3 페이지 / 전적]

병의 근원이 되는 독기.

병득수(丙得水)[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3 페이지 / 전적]

남동쪽 방향.

병든 사람 약을 주어[회심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에 실린 <회심곡>의 이본에는 ‘病든 사람 藥을 주어 活人功德 하였느냐.’로 전하는데, 가사의 문맥으로 보아 더 합당하다.

병란(秉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1 페이지 / 전적]

「秉蘭」-秉蕑과 같은데 三月 上巳日을 말함. 詩經 鄭風 溱洧에 『溱與洧 方渙渙兮 士與女 方秉蕑兮』라 했고 註에 「蕑湯으로 머리를 깜아 不祥을 袚除한다」라 했음.

병려(騈儷)[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29 페이지 / 전적]

대를 맞추어 짓는 一種의 文體인데 대가 四字 六字로 構成되어 四六文이라고도 稱함 六朝時代에 盛行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