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부엌간(부억間)[사친가2(思親歌(二)) 11 페이지 / 전적]
부엌으로 쓰는 곳.
부엌데기[사친가2(思親歌(二)) 5 페이지 / 전적]
부엌일을 맡아서 하는 여자를 얕잡아 이르는 말.
부여국(夫餘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 페이지 / 전적]
고조선(古朝鮮) 시대와 거의 같은 시기에 지금의 북만주 일대에 웅거한 부족 국가.
부여들어[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뛰어들어.
부여하해(富如河海)[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10 페이지 / 전적]
부가 바다와 강처럼 넘침. 몹시 부유함.
부역(賦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8 페이지 / 전적]
「征徭」―稅金과 徭役을 말한 것임.
부연(敷衍)[회경가 9 페이지 / 전적]
늘려서 널리 폄
부열[석천집(石川集二-五)2-5 64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고종(高宗)때의 어진 재상인데 고종이 꿈을 꾸고 꿈에서 본 사람을 찾았는데 부암(傅巖)에서 부열을 찾았다고 함.
부열(傅說)[사미인곡 3 페이지 / 전적]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 토목공사의 일꾼이었는데,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의 대업을 이루었음.
부열(傅說)[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어진 재상으로 은나라를 중흥시켰음. 고종이 어느날 꿈을 깨고 꿈에 본 인상을 그리게 하여 이를 찾았던 바 마침내 부암(傅巖)의 들판에서 그를 찾았다 함.
부열(傅說)[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어진 재상으로 은나라를 중흥시켰음. 고종이 어느날 꿈을 깨고 꿈에 본 인상을 그리게 하여 이를 찾았던 바 마침내 부암(傅巖)의 들판에서 그를 찾았다 함.
부열(傅說)[창덕가2 76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宰相), 토목(土木) 공사(工事)의 일꾼이었는 데, 당시(當時)의 재상(宰相)으로 등용(登用ㆍ登庸)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루었음.
부열(傅說)[창덕가2 7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宰相), 토목(土木) 공사(工事)의 일꾼이었는 데, 당시(當時)의 재상(宰相)으로 등용(登用ㆍ登庸)되어 중흥(中興)의 대업을 이루었음.
부열(傅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0 페이지 / 전적]
「和羮」- 殷나라, 高宗이 傅說을 얻어 정승을 삼으며 「若將和羮 爾惟鹽梅」라 하였음.書經 說命에 보임.
부열(傅說)[석천집(石川集二-三)2-3 129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으로 처음에는 부암(傅巖)에 숨어 살았다. 부암은 험한 산골짜기였는데 늘 길이 허물어지곤 했다. 부열은 토목공사의 일꾼으로 여기에 있었는데, 고종의 꿈에 현몽되어 그의 어진 것이 알려져 등용되었다.
부열(傅說)[화전가1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宰相). 토목(土木) 공사의 일꾼이었는데 당시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의 대업을 이루었음.
부열(傅說)[화전가2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宰相). 토목(土木) 공사의 일꾼이었는데 당시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의 대업을 이루었음.
부열(傅說)[역대가라(역가라) 6 페이지 / 전적]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 어진 재상이다. 그는 처음에 부암(傅巖)에 숨어 살았는데 고종이 꿈에 부열을 보고, 그를 그림으로 그리게 해서 그를 찾아 재상으로 맞아 나라를 잘 다스렸다.
부영(富營)[김씨효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부유하고 번영함.
부오민지재혜(阜吾民之財兮)[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남풍가>의 구절로 원래는 ‘南風之時兮 可以阜吾民之財兮’(남풍이 때에 맞게 불어옴이여 우리 백성들의 재물을 넉넉하게 해주네)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