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부원군(府院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왕비의 친아버지나 정일품 공신에게 주던 작호.
부원수(副元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원수에 다음가는 군의 통솔자.
부원수(副元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원수에 다음가는 군의 통솔자.
부원수(副元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전시(戰時)에 임명하던 임시 벼슬로 도원수나 상원수 또는 원수에 다음가는 군의 통솔자이다.
부월(斧鉞)[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작은 도끼와 큰 도끼를 이르던 말로 형벌이나 고문을 가하는 데 쓰이는 갖가지 도구를 뜻함.
부월(斧鉞)[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구석(九錫)의 하나로 생살권의 상징으로서 주던 작은 도끼와 큰 도끼를 뜻한다.또한 출정하는 대장에게 통솔권의 상징으로 임금이 손수 주던 작은 도끼와 큰 도끼, 정벌, 군기, 형륙(形戮)을 뜻하며 형구로 쓰던 작은 도끼와 큰 도끼를 일컫는다.
부월(斧鉞)[별한가 4 페이지 / 전적]
생살권의 상징으로서 주던 작은 도끼와 큰 도끼. 부월당전(斧鉞當前)은 작은 도끼와 큰 도끼가 눈앞에 있다는 뜻으로, 중형(重刑)을 받고 곧 죽게 되었음을 이르는 말.
부위자강(父爲子綱)[삼강오륜가 서 2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의 하나. 아버지는 자식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말.
부위자강(父爲子綱)[삼강오륜가 서 4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8 참조.
부위자강(父爲子綱)[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
부위자강(父爲子綱)[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根本)임.
부위자강(父爲子綱)[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根本)임.
부위처강(夫爲妻綱)[삼강오륜가 서 2 페이지 / 전적]
부위부강(夫爲婦綱)을 달리 이른 말.
부위처강(夫爲妻綱)[삼강오륜가 서 6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의 하나인 부위부강(夫爲婦綱)을 달리 이른 말. 지아비는 지어미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말.
부위처강(夫爲妻綱)[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4 페이지 / 전적]
부위부강(夫爲婦綱)을 잘못 쓴 것. 삼강(三綱)의 하나로 아내는 남편(男便)을 섬기는 것이 근본(根本)임
부위처강(夫爲妻綱)[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위부강(夫爲婦綱)이 맞는 표현으로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
부위처강(夫爲妻綱)[조심가라 16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 중 부부 간의 도리를 말한 부위부강(夫爲婦綱)을 말하는 듯.
부위처강(夫爲妻綱)[의로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위부강(夫爲婦綱)이 맞는 표현으로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
부위처강(夫爲妻綱)[조심가라 16 페이지 / 전적]
삼강(三綱) 중 부부 간의 도리를 말한 부위부강(夫爲婦綱)을 말하는 듯.
부위청강(父爲淸綱)[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부위부강(夫爲婦綱),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