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부유(蜉蝣)[론학가권지일 27 페이지 / 전적]

하루살이.

부유(蜉蝣)[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6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루살이.

부유(蜉蝣)[론학가권지일 27 페이지 / 전적]

하루살이.

부유(蜉蝣)[충효가(忠孝歌) 8 페이지 / 전적]

하루살이.

부유(蜉蝣)[로인가 3 페이지 / 전적]

하루살이.

부유(蜉蝣)[임잃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님일은시골여자의마지한봄) 6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루살이.

부유(蜉蝣)[도슈샤 10 페이지 / 전적]

하루살이.

부유(蜉蝣)[권학가 2 페이지 / 전적]

하루살이.

부유사해(富有四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온 세상을 소유하는 부(富).

부유사해(富有四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온 세상을 소유하는 부(富).

부유사해(富有四海)[명륜가(明倫歌) 45 페이지 / 전적]

부유하기로는 사해를 소유함.

부유인생(蜉蝣人生)[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루살이 같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허무하고 덧없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유인생(蜉蝣人生)[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하루살이 같은 인생이라는 뜻으로 허무하고 덧없는 인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부유천지(浮遊天地)[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세상을 떠돎.

부윤(府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3 페이지 / 전적]

지방 관아인 부(府)의 우두머리.

부윤(府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지방 관아인 부(府)의 우두머리로 종이품 문관의 외관직으로 영흥부와 평양부, 의주부, 전주부, 경주부의 다섯 곳에 두었다.

부윤옥(富潤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冨潤屋」―大學誠意章에 「冨는 집을 윤택케하고 덕은 몸을 윤택케 한다(富潤屋 德潤身)」했는데, 德潤身이 主語가 됨.

부은춘풍[감별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운춘풍(浮雲春風)의 오기인 듯함.

부을나(夫乙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탐라국을 세운 세 신인(神人) 가운데 하나. 제주 부씨(夫氏)의 시조이다.

부음(訃音)[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4 페이지 / 전적]

부고訃告. 사람이 죽었다는 기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