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부오민지재혜(阜吾民之財兮)[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남풍가>의 구절로 원래는 ‘南風之時兮 可以阜吾民之財兮’(남풍이 때에 맞게 불어옴이여 우리 백성들의 재물을 넉넉하게 해주네)임.
부완(父頑)[대효가(大孝歌) 4 페이지 / 전적]
아버지가 완고함.
부완모은(父頑母?)[명륜가(明倫歌) 22 페이지 / 전적]
아버지는 완고하고 어머니는 어리석음.
부완모은(父頑母嚚)[양친가(養親歌) 3 페이지 / 전적]
악(頑惡)한 아버지와 모진 어머니
부완모은(父頑母嚚)[오윤가 12 페이지 / 전적]
순 임금의 아버지는 완고하고 새어머니는 어리석어서 일찍이 순을 죽이고자 하였으나 순이 효도로 능히 화합하고 어질게 대처하여 새어머니의 간악함에 맞서지 않았다고 함.
부완모은(父頑母囂)[오륜도덕가(五倫道德歌) 7 페이지 / 전적]
아버지는 완고하고 어머니는 어리석은 체 한 것
부왕(父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3 페이지 / 전적]
왕자나 공주가 자기의 아버지인 임금을 이르던 말. 또는 다른 사람이 왕자나 공주의 처지에서 아버지인 임금을 이르던 말.
부요(富饒)[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유(富裕). 재산이 많고 넉넉함.
부요(富饒)[춘몽가(츈몽가) 17 페이지 / 전적]
맑은 노래와 매우 잘 추는 춤.
부요(富饒)[춘몽가(츈몽가) 16 페이지 / 전적]
부유(富有).
부용[ 1 페이지 / ]
부용 병풍 芙蓉屛風, 또는 부용장芙蓉帳을 가리킴.연꽃의 모양이 있는 병풍, 또는 장막.[고금기관古今奇觀]에 의하면 난리중에 가족과 흩어졌던 최준신崔俊臣이 부용 병풍의 인연으로 사랑하는 부인과 만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부용(婦容)[반졀퓨리 4 페이지 / 전적]
여자의 몸맵시.
부용(芙蓉)[사미인곡 5 페이지 / 전적]
‘부용’은 연꽃. 여기에서는 연꽃을 수놓은 비단 휘장. 부용장.
부용(芙蓉)[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9 페이지 / 전적]
연꽃.
부용(芙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7 페이지 / 전적]
「芙蓉裳」- 屈原의 離騒經에「製芰荷而爲衣兮 集芙蓉而爲裳」의글구가 있음.
부용(芙蓉)[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5 페이지 / 두루마리]
연꽃.
부용(芙蓉)[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수련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물풀. 7~8월에 지름 20센티미터 가량의 붉은색 또는 흰색 꽃이 핌.
부용(芙蓉)[별교사(별교)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용을 그리거나 수놓은 방장(房帳).
부용(芙蓉)[벌교사(벌교) 6 페이지 / 전적]
연꽃.
부용(芙蓉)[태평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연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