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개자하신[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는 짓이 똑똑하지 못함(함경남도의 방언).

개장[환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개장국.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 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 옛날부터 삼복(三伏) 때 또는 병자의 보신을 위하여 이를 먹는 풍습이 있었음.

개장[환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개장국.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 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 옛날부터 삼복(三伏) 때 또는 병자의 보신을 위하여 이를 먹는 풍습이 있었음.

개장국[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개고기를 넣고 끓인 국. 복날에 먹는 절식의 하나. 개장·구장(狗醬)·지양탕(地羊湯) 또는 보신탕(補身湯)이라고도 함. 보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절식(節食).

개장국[인일가라 9 페이지 / 전적]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 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

개장국[답긔슈가 6 페이지 / 전적]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 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

개절(改節)[부덕가(婦德歌) 5 페이지 / 전적]

절개를 고침.

개절(改節)[경장가(敬長歌) 1 페이지 / 전적]

절개를 고침.

개제(愷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5 페이지 / 전적]

「愷悌」- 和樂한 거동임. 左傳 僖公十二年 「愷悌君子」가 있는데, 詩經에는 愷弟로 되었음.

개제(愷悌)[석천집(石川集二-五)2-5 156 페이지 / 전적]

용모와 기상이 화락하고 단아함.

개제(愷悌)[교훈가 5 페이지 / 전적]

용모와 기상이 화락하고 단아함.

개제(改題)[송강집(松江集三)3 105 페이지 / 전적]

제주(題主)와 같음.

개지[시절가 3 페이지 / 전적]

강아지.

개지(介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2 페이지 / 전적]

「介子」―春秋時代사람 介子推인데, 또한 之推라고도 한다. 驪姬의 亂에 晋文公을 따라 도망하여 무릇 十九年를 함께 지냈는데, 文公이 還國하여 임금이 되자 之推는 祿을 말한바 없고 祿도 역시 미처 오지 않았다. 그래서 그 母와 함께 綿山에 숨었는데, 그후 文公이 찾아도 나오지 아니하므로, 그 山에 불을 질러 다그치자 之推는 마침내 抱木而死했다. 史記 晋世家參照.

개진(開陳)[신절가(臣節歌) 3 페이지 / 전적]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글이나 말로 밝히어 펼치는 것.

개착(改着)하고[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10 페이지 / 전적]

바르게 고쳐 입고.

개창(皆愴)[말이타국원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없는 슬픔.

개천(開天)[송강집(松江集一)1 4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개원(開元) 천보(天寶) 년간을 이름. 이백(李白) 두보(杜甫)등 시인이 배출한 성당(盛唐) 시대라 말함.

개천절(開天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단군의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는 국경일.

개초(蓋草)[김씨효행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이엉.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