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갱생(更生)[본문가라 4 페이지 / 전적]

①죽을 지경(地境)에서 다시 살아남 ②일단 못 쓰게 된 것을 손질하여 다시 쓰게 됨 ③죄(罪)를 뉘우치고 마음이 새로워짐.

갱생(更生)[본문가라 4 페이지 / 전적]

①죽을 지경(地境)에서 다시 살아남 ②일단 못 쓰게 된 것을 손질하여 다시 쓰게 됨 ③죄(罪)를 뉘우치고 마음이 새로워짐.

갱생(更生)[본문가라 4 페이지 / 전적]

①죽을 지경(地境)에서 다시 살아남 ②일단 못 쓰게 된 것을 손질하여 다시 쓰게 됨 ③죄(罪)를 뉘우치고 마음이 새로워짐.

갱생(更生)하고[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20 페이지 / 전적]

다시 살아나고.

갱소(更蘇)[제주여행가 24 페이지 / 두루마리]

다시 살아남.

갱소년(更少年)[후원초당 봄이듯이 1 페이지 / 두루마리]

늙은이의 몸과 마음이 다시 젊어짐.

갱소년(更少年)[조선충효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다시 소년이 됨.

갱소연(更少年)은[회경가 4 페이지 / 전적]

다시 젊어지지는

갱심(更心)[후원초당 봄이듯이 5 페이지 / 두루마리]

잘못된 마음을 바르게 고침.

갱유오년민원(更留五年民願)[낙지가 6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이 다시 5년 간의 통치를 소망함.

갱장(羹墻)[사친곡 5 페이지 / 전적]

남을 우러러 사모하는 일.

갱장(羹墻)[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5 페이지 / 전적]

「羹墻聖慕」― 後漢書李固傳에 「昔堯歿之後 舞仰慕三年 坐則見堯于牆 食則見堯於羹」이라는 말이 있음. 新羅王赫居世의 廟는 州의 南쪽 月南里에 있는데 王朝 世宗十一年에 廟를 세우고 매양 仲秋에 香과 祝幣를 내리어 祭하였으므로 이 사실을 말한 것임.

갱장에도 모습 보이니[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8 페이지 / 전적]

늘 사모하는 것을 말함. 요 임금이 죽은 뒤에 순 임금이 담장을 대해도 요 임금의 모습이 보이고 국을 대해도 요 임금이 보였다는 고사.《後漢書 卷六十三 李杜列傳》

갱재(賡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8 페이지 / 전적]

「賡載歌」 ― 賡은 續이요 載는 성의 뜻임. 書經 益稷에 「乃賡載歌曰 元首明哉 股肱良哉 庶事康哉」가 있는데, 이 皐陶가 舜의作歌에 賡載한 것임. 後世에서 舜의 歌와 皐陶의 賡歌를 들어三百篇의 權輿라 稱함

갱재(賡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9 페이지 / 전적]

「賡載」―賡載歌의 畧稱.

갱재(更齋)[봉션화가 3 페이지 / 전적]

다시 몸과 마음을 깨끗이 가다듬음.

갱재가[석천집(石川集二-二)2-2 121 페이지 / 전적]

<<서경>> <익직(益稷)>에 실려 있는 노래인데, 순임금이 먼저 노래를 짓자 신하인 고요가 뒤를 이어서 불렀다. 이 <갱재가>가 최초의 창수시(唱酬詩)>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실제로 순임금과 고요가 그 당시에 지었는지 확실치는 않다.

갱쟁(鏗錚)[알성가(謁聖歌) 35 페이지 / 전적]

금속이 부딪쳐 나는 소리

갱지(更紙)[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좀 거칠고 품질이 낮은 종이.

갱지(更紙)[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좀 거칠고 품질이 낮은 종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