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거화(擧火)[합강정가(合江亭歌) 9 페이지 / 전적]
횃불을 켬.
걱기조은밥을 람쥬며[복션화음록 22 페이지 / 전적]
‘걱기’는 먹기의 잘못된 표기인듯. 먹기좋은 밥을 개를 주며.
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4 페이지 / 전적]
「中書」- 금을 그어 스스로 限한다는 뜻임. 論語 雍也篇에「力不足者 中道而廢 今女畫」이라 하였음.
건(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7 페이지 / 전적]
「進德依乾」- 易 文言에「九三回君子終日乾乾 夕愓若厲无咎 何謂也 子曰君子進德修業 忠信 所以進德也 修辭立其誠 所以居業也」라 하였음.
건(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2 페이지 / 전적]
「乾父坤母」― 張橫渠의 東銘에「乾稱父 坤稱母 予玆藐然 乃混然中處」라 했음
건(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5 페이지 / 전적]
「乾坤泰」-위에 나타나 있음.
건(乾)의 굳셈과 곤(坤)의 부드러움[삼강오륜가 서 9 페이지 / 전적]
건강곤유(乾剛坤柔).
건(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0 페이지 / 전적]
「天行健」- 易 乾의 大象에「天行健 君子以 自强不息」이라 하였음.
건각(蹇脚)[호남비결(湖南秘訣) 22 페이지 / 전적]
한쪽 다리가 짧거나 탈이 나서 뒤뚝뒤뚝 저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절뚝발이.
건각증(蹇脚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발을 절뚝거리는 병. 절름발이. 절뚝발이.
건각증(蹇脚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발을 절뚝거리는 병. 절름발이. 절뚝발이.
건각증(蹇脚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발을 절뚝거리는 병. 절름발이. 절뚝발이.
건간수(乾艮水)[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2 페이지 / 전적]
서북과 동북 방향으로 흐르는 물.
건강(乾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0 페이지 / 전적]
「乾剛」― 易 繫辭傳에 「乾剛坤柔」란 말이 있으므로 빌려쓴 것임.
건강(乾薑)[김씨효행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말린 생강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위랭(胃冷), 구토, 설사의 치료에 씀.
건거(巾車)[석천집(石川集二-五)2-5 168 페이지 / 전적]
베나 비단으로 막을 쳐서 꾸민 수레.
건건(乾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6 페이지 / 전적]
「乾乾」-게을리 않는 뜻임. 易乾의 三에「君子終日乾乾 夕惕若厲无咎」라 하였음.
건건(件件)이[망부가 19 페이지 / 전적]
건마다.일마다.
건건(蹇蹇)[소년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①괴로워하며 신고(辛苦)하는 모양 ②충성(忠誠)을 다하는 모양.
건건(蹇蹇)[소년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①괴로워하며 신고(辛苦)하는 모양 ②충성(忠誠)을 다하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