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건수생수(乾水生水)[경화가(警和歌) 42 페이지 / 전적]

건수가 생수가 되니.

건순(健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5 페이지 / 전적]

「健順五常」- 健順은 易의 例에 陽은 健, 陰은 順이라 했고, 五常은 仁義禮智信을 이름.

건순로치(乾脣露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건순(乾脣)은 위로 들린 입. 위로 들린 입술 때문에 이가 드러남.

건순로치(乾脣露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건순(乾脣)은 위로 들린 입. 위로 들린 입술 때문에 이가 드러남.

건순로치(乾脣露齒)[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건순(乾脣)은 위로 들린 입. 위로 들린 입술 때문에 이가 드러남.

건술(乾戌)[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6 페이지 / 전적]

북서방향.

건악[팔역가(八域歌) 41 페이지 / 전적]

전주 건지산

건안[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82 페이지 / 전적]

동한(東漢) 마지막 황제인 헌제(獻帝)의 연호. 이때 조자건(曹子建) 부자와 업중(鄴中)의 일곱 사람들의 시가 유명했으므로 건안체(建安體)라는 말까지 생겼음.《滄浪詩話 詩體》

건안(建安)[석천집(石川集二-一)2-1 34 페이지 / 전적]

漢의 年號니 이때에 孔融 劉楨 등 七子가 文章으로 유명했다

건양(乾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63 페이지 / 전적]

「乾陽」-冬至의 地雷復에서 一陽 始生하여 四月이 되면 重天乾이 됨으로 四月를 말함.

건양다경(建陽多慶)[입추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양의 기운이 맞이하여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는 뜻.

건양다경(建陽多慶)[길경가라 3 페이지 / 전적]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는 글.

건양다경(建陽多慶)[길경가라 3 페이지 / 전적]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는 글.

건양다경(建陽多慶)[길경가라 3 페이지 / 전적]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는 글.

건양다경(建陽多慶)[길경가라 3 페이지 / 전적]

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는 글.

건양다경(建陽多慶)[경춘곡 5 페이지 / 전적]

따뜻한 기운이 돌아 좋은 일이 많다는 뜻.

건양다경(建陽多慶)[경춘곡 5 페이지 / 전적]

따뜻한 기운이 돌아 좋은 일이 많다는 뜻.

건양입춘(建陽立春)[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건양(建陽)이란 조선 고종 때의 연호(年號)인데 이 연호가 쓰여지기 시작한 1896년, 그해 입춘(立春)부터 입춘방에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는 문구를 쓰기 시작하였다.이는 건양, 즉 우리나라(대한제국)에 경사가 많으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

건양입춘(建陽立春)[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건양(建陽)이란 조선 고종 때의 연호(年號)인데 이 연호가 쓰여지기 시작한 1896년, 그해 입춘(立春)부터 입춘방에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는 문구를 쓰기 시작하였다.이는 건양, 즉 우리나라(대한제국)에 경사가 많으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

건염(建炎) 경술년(庚戌年)[경술가 5 페이지 / 전적]

건염()은 남송(南宋) 고종(高宗) 때의 연호(1127~1130). 경술년은 건염 4년 1130년을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