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걸(桀)[송강집(松江集七)7 91 페이지 / 전적]
포악으로 유명한 하(夏)나라 임금
걸가(乞假)를 불통(不通)하며[분별가(分別歌) 5 페이지 / 전적]
빌리기를 서로 통하지 아니하며.
걸가(乞假)를 불통(不通)하며[거취가(去取歌) 1 페이지 / 전적]
빌리기를 서로 통하지 아니하며.
걸걸(傑傑)한[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성질이 쾌활하고 외모가 훤칠한.
걸걸(傑傑)한[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성질이 쾌활하고 외모가 훤칠한.
걸교(乞巧)[백발가 11 페이지 / 전적]
여자 아이들이 칠석 날 밤에 견우·직녀 두 별에게 길쌈을 잘하게 해달라고 빌던 일.
걸교문(乞巧文)[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 유종원이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지은 시.
걸교문(乞巧文)[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때 유종원이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며 지은 시.
걸군(乞郡)[김씨효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문과에 합격한 사람이 부모를 공양하기 위하여 고향의 수령 자리를 청하던 일.
걸닉(桀溺)[석천집(石川集二-五)2-5 116 페이지 / 전적]
공자와 같은 시대의 은자(隱者). 장저(長沮)와 함께 우경(耦耕)하였다는 사람.
걸리도다[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에) 걸리도다.
걸리도다[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에) 걸리도다.
걸식표모(乞食漂母)[창덕가2 83 페이지 / 전적]
한 나라의 유방을 도와 항우를 무찌른 한신은 젊었을 때에 가난해서 빨래어멈에게 밥을 얻어먹은 적이 있었는데 후에 제왕이 되어 천금으로 당시의 은혜를 갚음.
걸식표모(乞食漂母)[창덕가2 84 페이지 / 전적]
한 나라의 유방을 도와 항우를 무찌른 한신은 젊었을 때에 가난해서 빨래어멈에게 밥을 얻어먹은 적이 있었는데 후에 제왕이 되어 천금으로 당시의 은혜를 갚음.
걸양(乞養)[송강집(松江集三)3 30 페이지 / 전적]
문과에 합격한 선비가 부모 봉양을 위하여 수령(守令)으로 부임할 것을 원하는 제도.
걸양(乞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1 페이지 / 전적]
「乞養」-朝廷의 文臣이 늙은 父母를 奉養하기 위하여 外方의郡縣을 自願하여 나가는 것을 이름. 선생의 玉果縣監과 같은 경우임.
걸양(乞養)[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6 페이지 / 전적]
빌어먹는 아이를 제 자식처럼 거두어 기름.
걸양(乞養)[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2 페이지 / 전적]
빌어먹는 아이를 제 자식처럼 거두어 기름.
걸오(桀驁)[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6 페이지 / 전적]
성질과 심성이 거칠고 사나움.
걸오(桀驁)[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6 페이지 / 전적]
성질과 심성이 거칠고 사나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