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건주(建奏)[여자석별가 6 페이지 / 전적]
임금에게 의견을 올림. 여기서는 마친다는 뜻인 듯.
건주위(建州衛)[송강집(松江集二)2 179 페이지 / 전적]
만주(滿洲) 여진족(女眞族)의 부락 이름.
건중건극(建中建極)[지리산이수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중정(中正)의 도(道)를 세워 인륜 도덕의 모범•표준을 세워 만민(萬民)의 법칙을 정하는 것.
건중미문합환향(巾中未聞合歡香)[한양가라 25 페이지 / 전적]
건중미문합환향(巾中未聞合歡香)
건쥬츄고[셕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대강 추스르고. 대강 주재하고. 대강 정리하고.
건즐(巾櫛)[쌍옥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수건과 빗을 아울러 이르는 말. 낯을 씻고 머리를 빗는 일.
건지를 받들어[여행록이라(여녹이라) 4 페이지 / 전적]
건즐(巾櫛)을 받들어' 의 오기(誤記).여자가 아내나 첩이 됨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건춘문(建春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경복궁의 동쪽 문으로 문 안쪽에 세자가 기거하던 춘궁(春宮)이 있었으며, 임금의 친족이나 상궁들만이 드나들 수 있었다
건춘문(建春門)[셔유곡 20 페이지 / 전적]
경복궁의 동쪽 문. 현재 남아있으며 문 안에 왕세자가 있던 춘궁(春宮)이 있었고 왕의 종친, 상궁(尙宮)만 출입함.
건평(建坪)[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건물이 차지한 밑바닥의 평수.
건풍(乾風)[화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건조한 바람. ‘서북풍’을 달리 이르는 말.
건하여서나[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긋나게 하여서. ‘건(愆)’은 ‘건체(愆滯)’로 착오가 생기고 지체된다는 말이다.
건해(乾亥)[경화가(警和歌) 42 페이지 / 전적]
‘해(亥)’는 12지지의 마지막임.
건해(乾亥)[경화가(警和歌) 42 페이지 / 전적]
‘해(亥)’는 12지지의 마지막임.
건해(乾亥)[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5 페이지 / 전적]
서와 북의 간방.
건해(乾亥)로 전신(轉身)[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7 페이지 / 전적]
서북간으로부터 뻗어 나옴.
건해맥(乾亥脉)[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서와 북쪽 사이에서 나온 말.
건해방(乾亥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4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
건해방(乾亥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1 페이지 / 전적]
서북 방향.
건행곤정(乾行坤定)[명륜가(明倫歌) 53 페이지 / 전적]
사사로움이 없이 건도(乾道)를 실행하면 곤도(坤道)는 저절로 정하여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