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기역(其亦)[여행록이라(여녹이라) 9 페이지 / 전적]

그 또한.

기연(其然)[론학가권지일 3 페이지 / 전적]

이미 알려진 사실.

기연(其然)[론학가권지일 3 페이지 / 전적]

이미 알려진 사실.

기연(機緣)[낙향이별가 11 페이지 / 전적]

어떤 기회를 통해 맺어진 인연.

기연(起緣)[후원초당 봄이듯이 10 페이지 / 두루마리]

연기(緣起)와 같은 뜻으로 모든 현상이 생기(生起) 소멸 하는 법칙.

기연불연(其然不然)[경화가(警和歌) 35 페이지 / 전적]

그러함과 그렇지 아니함. 즉, ‘기연(其然)’이 사물이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 적인 것을 말한다면, ‘불연(不然)’은 사물이 생겨나게 된 원리와 근원적인 이치를 말함. 그러므로 사물을 바라볼 때 겉으로 드러난 부분과 감추어져 있는 부분 모두를 깊이 연구해서 생각하는 것이 이치를 헤아리는 좋은 방법이 됨을 말한 것임.

기연불연(其然不然)[경화가(警和歌) 35 페이지 / 전적]

그러함과 그렇지 아니함. 즉, ‘기연(其然)’이 사물이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 적인 것을 말한다면, ‘불연(不然)’은 사물이 생겨나게 된 원리와 근원적인 이치를 말함. 그러므로 사물을 바라볼 때 겉으로 드러난 부분과 감추어져 있는 부분 모두를 깊이 연구해서 생각하는 것이 이치를 헤아리는 좋은 방법이 됨을 말한 것임.

기오시(淇澳詩)[낙지가 7 페이지 / 전적]

『시경』의 <주남>편에 있는 시. 위(衛)나의 무공을 칭송한 노래.

기옹(畸翁)[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43 페이지 / 전적]

정홍명(鄭弘溟)을 말함. 정철의 넷째 아들. 1582(선조 15)~1650(효종 1). 호는 기암(畸庵),또는 삼치(三痴)라고 했는데, 기옹(畸翁)으로도 불린다. 1616년에 증광문과에 급제한 후 검열, 지평, 부제학, 수원부사, 대제학 등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저서에기암집(畸庵集), 기옹만필(畸翁漫筆)등이 있다.

기왕사(旣往事)[금강산유람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이왕에 지나간 일.

기우[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3 페이지 / 전적]

기수와 우수로서 기는 양이 되고 우는 음이 되니, 음과 양이 서로 섞여 천지 조화가 이루어진다

기우(寄寓)[이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한때 다른 곳에 몸을 의지하고 지내는 것.

기우(杞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7 페이지 / 전적]

杞는 古代의 國名임. 列子 天瑞에「옛날 杞나라에 사는 어떤 사람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빠질까 걱정했다」는 말이 있음. 그래서 쓸데없는 근심을 杞憂라 칭함.

기우(祈雨)[옥산가라 9 페이지 / 전적]

날이 가물 때에 비가 오기를 빎.

기우(騎牛)[ 1 페이지 / ]

소를 타고 감.

기우騎牛[ 1 페이지 / ]

소를 타다. 불가에서 진리의 상징인 소 곧 마음을 찾아 그것을 타고 집으로 돌아온다는 뜻.

기욱(淇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1 페이지 / 전적]

「淇奧 」―淇는 水名이요, 奧은 隈임. 詩經 衛風 淇奧에「瞻彼淇奧 綠竹猗猗」라는 句가 있음.

기욱(淇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淇奧」- 衛風의 章名임. 朱傳에「衛人이 武公의 德을 아름답게 여겨, 綠竹의 처음 돋아나는 美監을 들어 學問自修의進益을 일으킨 것이다」했음.

기운[나웅하상토굴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에 다른 조각을 대거는 또는 그대로 꿰매는 ‘깁다’는 뜻임.

기운(氣運)[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7 페이지 / 전적]

가사 원문에서의 “이운”은 이의 오기로 보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