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기지사경(幾至死境)[심심가(尋心歌) 2 페이지 / 전적]

거의 죽을 지경에 이름.

기지사경(幾至死境)[심심가(尋心歌) 2 페이지 / 전적]

거의 죽을 지경에 이름.

기지없고[친우상별가라 3 페이지 / 전적]

그지없고.

기지여신(其知如神)[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5 페이지 / 전적]

그 앎이 신(神)과 같다.

기직[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0 페이지 / 전적]

왕골껍질이나 부들 잎으로 짚을 싸서 엮은 자리.

기진(氣盡)[추월감 2 페이지 / 두루마리]

기운이 다하여 힘이 없음.

기진(氣盡)[몽즁운동가 8 페이지 / 전적]

기운이 다하여 힘이 없어짐.

기진맥진(氣盡脈盡)[추월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기운과 의지력이 다하여 스스로 가누지 못할 지경이 됨.

기질(氣質)[동국조선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타고난 기품과 성질.

기집[여자행신가 13 페이지 / 전적]

계집임.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기집[여자행신가 13 페이지 / 전적]

계집임.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

기척(棄擲)[시절가 18 페이지 / 전적]

던져 버림.

기천년고(旣千年顧)[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천년을 되돌아보니.

기천년고(旣千年顧)[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천년을 되돌아보니.

기청(祈請)[후원초당 봄이듯이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원(祈願)'과 비슷한 말.

기체후일(氣體後日)[벽천가 12 페이지 / 전적]

훗날 몸과 마음의 형편이라는 뜻으로 웃어른께 문안을 올리는 편지에 쓰는 말.

기초(奇草)[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기이한 풀.

기초(奇草)[시절가 11 페이지 / 전적]

진기한 풀.

기초(崎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6 페이지 / 전적]

「奇峭」―山을 말함 여기는 金剛山을 指稱한 것임.

기초시(祈招詩)[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