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기초시(祈招詩)[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기촉있게[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빨리.

기촌(企村)[석천집(石川集二-三)2-3 128 페이지 / 전적]

조선 성종,선조 때의 문신 송순(宋純,1493-1583). 자는 수초(遂初), 호는 기촌(企村), 또는 면앙정(俛仰亭). 이조참판,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우참찬(右參贊)에 이르러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뒤에 치사하고 담양(潭陽)의 제월봉(霽月峯)아래 석림정사(石林精舍)와 면앙정(俛仰亭)을 짓고 독서와 문학 활동에 전념했다.

기촌(企村)[석천집(石川集二-四)2-4 42 페이지 / 전적]

朝鮮 中期 文人 宋純의 雅號.

기촌(企村)[석천집(石川集二-五)2-5 147 페이지 / 전적]

송순(宋純, 1491-1563)은 호를 면앙정(俛仰亭), 또는 기촌이라 하였음.

기축(己丑)[노정가라(노졍기라) 33 페이지 / 전적]

육십갑자의 스물여섯째.

기축(機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4 페이지 / 전적]

「機軸」-文의 構造를 말한 것임.

기축년(己丑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3 페이지 / 전적]

서기 1649년.

기축년(己丑年)[한양가라 55 페이지 / 전적]

서기 1469년.

기축년(己丑年)[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1949년.

기출(己出)[조심가라 38 페이지 / 전적]

자기가 낳은 자식.

기출(己出)[조심가라 38 페이지 / 전적]

자기가 낳은 자식.

기출(己出)[쳐시영결가 5 페이지 / 전적]

자기가 낳은 자식.

기출(己出)[옥산가라 26 페이지 / 전적]

자기가 낳은 자식.

기측불원(其則不遠)[흥비가 2 페이지 / 전적]

그 법이 멀리 있지 않다.

기치(旗幟)[합강정가(合江亭歌) 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군대에서 쓰던 깃발.

기치(旗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1 페이지 / 전적]

군대에서 쓰던 깃발.

기치창검[착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기치창검(旗幟槍劍)은 군중(軍中)에서 쓰는 기, 창, 칼 등의 총칭.

기치창검(旗幟槍劍)[자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군대에서 쓰던 깃발, 창, 칼 따위를 통틀어 이르던 말.

기치창검(旗幟槍劍)[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군대에서 쓰던 깃발, 창, 칼 따위를 통틀어 이르던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