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기좌(起坐)[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일어나 앉다.
기좌(起坐)[소상팔경가 23 페이지 / 전적]
방 안에서 사람을 맞을 때에 예의로 일어났다가 다시 앉음.
기죄(其罪)[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8 페이지 / 전적]
그 죄.
기주(嗜酒)[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술을 즐기고 좋아함. 술 마시기를 즐김.
기주(箕疇)[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1 페이지 / 전적]
「箕疇」- 箕子의 洪範九疇에「五福一曰壽」라는 대문이 있음.
기주(紀州)[춘몽가(츈몽가) 31 페이지 / 전적]
중국 후난성[湖南省]에 있는 산.
기주(紀州)[춘몽가(츈몽가) 31 페이지 / 전적]
발해는 전국을 5경(京) 15부(府) 62주(州)로 나누었는데, 15부의 하나인 회원부에는 기주를 비롯해 달주·월주·회주·부주·미주·복주·사주·지주 등 9개 주가 있었음.기주는 62주 가운데 하나로 중국 헤이룽장성[黑龍江省]에 있었던 회원부에 속하였으나 그 위치는 알 수 없음.
기주오복(箕疇五福)[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기주는 기자(箕子)에 의해서 세상에 알려진 홍범 구주(洪範九疇) 즉 오행(五行), 오사(五事), 팔정(八政), 오기(五紀), 황극(皇極), 삼덕(三德), 계의(稽疑), 서징(庶徵), 오복(五福).
기주오복(箕疇五福)[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기주는 기자(箕子)에 의해서 세상에 알려진 홍범 구주(洪範九疇) 즉 오행(五行), 오사(五事), 팔정(八政), 오기(五紀), 황극(皇極), 삼덕(三德), 계의(稽疑), 서징(庶徵), 오복(五福).
기주탐색(嗜酒貪色)[오륜가라 11 페이지 / 전적]
술을 좋아하고 여색을 매우 좋아함.
기주탐색(嗜酒貪色)[오륜가라 11 페이지 / 전적]
술을 좋아하고 여색을 매우 좋아함.
기준[팔역가(八域歌) 13 페이지 / 전적]
기자 조선의 끝 왕,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마한을 세움
기준왕(箕準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 페이지 / 전적]
고조선의 마지막 왕. 연나라에서 망명하여 온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남쪽으로 가서 마한(馬韓)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기중[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귀중(貴重). 귀하고 중요하다는 말.
기중(綦重)[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꼭 필요하고 중요함.
기중(綦重)[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꼭 필요하고 중요함.
기즁나[셕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기중(綦重)하나. 긴요하나. 중요하나.
기지(基址)[궁장가(宮墻歌) 4 페이지 / 전적]
건축물의 기초 또는 사업의 근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기지(己志)[효행가(孝行歌) 3 페이지 / 전적]
자기의 뜻.
기지가[대동가(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가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