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기자(飢者)는 감식(甘食)이요[자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굶주린 사람은 음식을 가리지 않고 맛있게 먹음.
기자(驥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89 페이지 / 전적]
「驥子」―좋은 아들을 말함。 杜甫詩에 「驥子春猶隔 鶑歌曖正繁」이라는 句가 있음
기자(驥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5 페이지 / 전적]
「驥子」-유능한 아들을 지칭하는 말임. 杜甫詩에「驥子好男兒前年學語時」라는 句가 있음.
기자미자(箕子微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기자와 미자는 은나라 마지막 왕이었던 주(紂)임금의 폭정(暴政)에 대해 간언(諫言)하였던 인물임. 비간(比干)과 함께 은(殷) 말기의 세 명의 어진 사람(三仁)으로 꼽힘.
기자미자(箕子微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1 페이지 / 전적]
기자와 미자는 은나라 마지막 왕이었던 주(紂)임금의 폭정(暴政)에 대해 간언(諫言)하였던 인물임. 비간(比干)과 함께 은(殷) 말기의 세 명의 어진 사람(三仁)으로 꼽힘.
기자헌(奇自獻)[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0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문신(1567~1624). 자는 사정(士靖). 호는 만전(晩全). 부제학ㆍ대사헌ㆍ영의정을 지냈고,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였으나, 영창 대군의 살해를 반대하다가 제주로 귀양을 갔다. 이괄(李适)의 난 때 무고한 혐의를 받아 사사(賜死)되었다.
기잠수[팔역가(八域歌) 38 페이지 / 전적]
성리학자 기대승
기장(奇壯)[창덕가2 35 페이지 / 전적]
기이하고 장엄함.옷과 머리에 장식한 것이 찬란함.
기장(奇壯)[창덕가2 36 페이지 / 전적]
기이하고 장엄함.옷과 머리에 장식한 것이 찬란함.
기장(奇壯)하다[용담가 3 페이지 / 전적]
기이하고 웅장하다.
기장(奇壯)하다[용담가라 3 페이지 / 전적]
매우 크고 위엄이 있다.
기장떡[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찧어서 껍데기를 벗긴 기장으로 빚은 떡.
기장밥[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쌀에 기장을 섞거나 또는 기장만으로 지은 밥.
기장밥[북쳔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쌀에 기장을 섞어 지은 밥, 또는 기장만으로 지은 밥.
기장지(旣張之)[여행록이라(여녹이라) 1 페이지 / 전적]
기장지무(旣張之舞)의 준말.이미 벌린 춤이란 뜻으로, 이미 시작(始作)한 일이니 중간(中間)에 그만 둘 수 없다는 말.
기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6 페이지 / 전적]
「企齋」-申光漢의 號임.
기재[석천집(石川集二-四)2-4 49 페이지 / 전적]
申光漢(1484-1555)의 雅號.
기쟁호승(嗜爭好勝)[양친가(養親歌) 8 페이지 / 전적]
논쟁을 좋아하고 이기는 것을 좋아함
기절(奇節)[상사별곡(상별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뛰어난 절조.
기절(奇節)[상사별곡(상별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뛰어난 절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