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난신(亂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0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어지럽게 하는 신하.

난신적자(亂臣賊子)[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5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자기 집안의 물건을 훔친 도둑

난신적자(亂臣賊子)[창덕가2 58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을 일컫는 말.

난신적자(亂臣賊子)[창덕가2 59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을 일컫는 말.

난신적자(亂臣賊子)[영산초장이라 3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어지럽히는 불충한 무리.

난신적자(亂臣賊子)[도덕가라 1 페이지 / 전적]

나라를 어지럽히는 불충한 무리.

난실(蘭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8 페이지 / 전적]

「蘭室」- 芝蘭室의 略稱임. 家語에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久而不聞其香 卽與之化矣」라 하였음, 高適詩에 「參班芝蘭室 還對桃李陰」

난심(亂心)[말이타국원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갈피를 잡지 못하는 어지러운 마음.

난어상천(難於上天)[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3 페이지 / 전적]

하늘에 오르기만큼 어려움.

난언(難言)[셔유곡 6 페이지 / 전적]

입장이 곤란하여 밝혀 말하기 어려움.

난연(赧然)[가사소리 35 페이지 / 전적]

수줍어서 낯빛이 붉음.

난옥(蘭玉)[송강집(松江集三)3 34 페이지 / 전적]

남의 자손을 칭하는 말.

난위수(難爲水) 난위언(難爲言)[유소가 4 페이지 / 전적]

바다를 본 적이 있는 사람은 물을 말하기 어렵고, 성인의 공부를 한 사람은 학문에 대해 말하기 어렵다.

난육(卵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6 페이지 / 전적]

「淑慝」― 淑은 善이요 慝은 惡임. 書經畢命에「旌別淑慝」이란 대문이 있음.

난으실을[복션화음록 10 페이지 / 전적]

길게 늘인 실을. ‘난’은 명주나 무명 따위를 낳기 위하여 새수에 맞추어 그 실을 길게 늘이다.

난의사(亂衣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누더기처럼 어지러운 모양의 사(砂).

난의사(亂衣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누더기처럼 어지러운 모양의 사(砂).

난의사(亂衣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누더기처럼 어지러운 모양의 사(砂).

난의포식(暖衣飽食) 자경비(自輕肥)[화전가1 3 페이지 / 전적]

자식에겐 따뜻하게 입히고 배불리 먹이고, 자신은 허름한 옷에 아무것이나 먹음.

난의포식(暖衣飽食) 자경비(自輕肥)[화전가2 3 페이지 / 전적]

자식에겐 따뜻하게 입히고 배불리 먹이고, 자신은 허름한 옷에 아무것이나 먹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