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첨절(僉節)[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별고 없느냐 묻는 인사말.

첨정(僉正)[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각 관아의 낭청에 속한 종사품 벼슬. 돈령부, 봉상시, 종부시, 사옹원, 내의원, 상의원, 사복시 따위에 둠.

첨지재전 홀연재후 (瞻之在前 忽然在後)[황남별곡(黃南別曲) 22 페이지 / 전적]

논어(論語)' <자한(子罕)> 편에 나오는 말로 공자의 덕이 앞에 있는 듯 하다가도 어느새 뒤에 있다고 하며 공자를 찬미하는 말.

첨지재전(瞻之在前)[권션지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앞을 멀리 바라본 것

첨지재전(瞻之在前)[붕우츠회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쳐다보니 앞에 있었다.

첨지재전(瞻之在前)[도덕구가 4 페이지 / 전적]

쳐다보니 앞에 있었다.

첨지재전(瞻之在前) 아득하고 홀언재후(忽焉在後) 못 볼레라[사모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우러르면 앞에 있는 듯 아득하고, 어느새 갑자기 뒤에 가 있어 못 볼 듯하다.

첨첨중중(添添重重)[우미인가라 3 페이지 / 전적]

겹겹으로 계속 더하여져 있음.

첨첨중중(添添重重)[우미인가라 3 페이지 / 전적]

겹겹으로 계속 더하여져 있음.

첨축(籤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籤軸」― 簽과 같은데 標識임. 이를테면 竹片上에 文字를 써서符號를 만든 것이니 무릇 標題는 다 籤이라 함.軸은 書軸을 이름

첨축籤軸[ 1 페이지 / ]

서첨과 서축. 서첨은 책 겉장에 붙이는 표제標題, 또는 그 표제를 적은 종이이고, 서축은 글씨를 적은 족자簇子를 가리킴.

첨피기욱(瞻彼淇澳)[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저 기수의 물을 바라보니.

첨피기욱(瞻彼淇澳)[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저 기수의 물을 바라보니.

첨화(添花)[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첩(妾)[초한가라 21 페이지 / 전적]

우미인.

첩경사(疊慶事)[삼한가라(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축하할 만한 기쁜 일이 겹침.

첩망부모(輒忘父母)[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님에 대한 기억이 멀어짐.

첩보(諜報)[심심가(尋心歌) 60 페이지 / 전적]

상대편의 정보나 형편을 몰래 알아내어 보고함. 또는 그런 보고.

첩보(諜報)[심심가(尋心歌) 60 페이지 / 전적]

상대편의 정보나 형편을 몰래 알아내어 보고함. 또는 그런 보고.

첩승(妾勝)[충효가(忠孝歌) 16 페이지 / 전적]

첩이 본처보다 더욱 사랑받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