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첩홀(輒忽)[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8 페이지 / 전적]

문득, 갑자기.

첩화두(捷花頭)[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꽃을 꽂은 듯한 두(頭). 두(頭)는 두뇌(頭腦)라고도 하며, 입수(入首)에서 혈(穴)과 맞닿는 곳.

첩화두(捷花頭)[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7 페이지 / 전적]

꽃을 꽂은 듯한 두(頭). 두(頭)는 두뇌(頭腦)라고도 하며, 입수(入首)에서 혈(穴)과 맞닿는 곳.

첩화두(捷花頭)[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꽃을 꽂은 듯한 두(頭). 두(頭)는 두뇌(頭腦)라고도 하며, 입수(入首)에서 혈(穴)과 맞닿는 곳.

첫안면(顔面)[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4 페이지 / 전적]

처음으로 얼굴을 대함.

첫째는 위선(爲先)이요 둘째는 제 일이라[그리져리구경하고 39 페이지 / 전적]

첫째는 선조를 위함이요, 둘째는 자기의 일이라.

청 성(淸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49 페이지 / 전적]

「淸聲兩韻」―선생의 이 시는 蘇軾의 汲江煎茶詩와 眞一酒詩를 들어 비교하여 究竟은 차마시는 것이 술마시는 것만 못하다는 뜻으로 풀이한 戱作의 하나임. 勻石의 釣石의 誤이니「自臨釣石取深淸」과 「器潔泉新表裏淸」과의 대조임. 그 汲江煎茶詩는 活水還須活火烹, 自臨釣石取深淸. 大瓢貯月歸春罋, 小杓分江入夜明 雪乳巳飜煎處脚 松風忽作瀉時聲 枯膓未易禁三椀 坐聽荒城長短更」이라 하였고 眞一酒歌는 「撥雪披雲得乳泓,蜜蜂又欲醉先生. 稻華麥仰陰陽足,器潔泉新表裏淸. 曉日著顔紅有暈

청 제(靑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8 페이지 / 전적]

「靑齊」- 靑州의 齊인데 소금의 産地임 書經 禹貢에 「厥貢鹽絺」라 하였음.

청(廳)[사친가2(思親歌(二)) 12 페이지 / 전적]

크고 높은 건물을 염두하고 이르는 말.

청(廳)[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대청(大廳). 한옥에서, 몸채의 방과 방 사이에 있는 큰 마루.

청(廳)[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대청(大廳). 한옥에서, 몸채의 방과 방 사이에 있는 큰 마루.

청(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33 페이지 / 전적]

「淸和備時」― 孟子 萬章篇에「伯夷는 聖의 淸者요, 柳下惠는 聖의 和者요, 孔子는 聖의 詩者이라. 孔子를 集大成이라 이른다」라 한 대문이 있으므로 이를 들어 四季花에 비하여 예찬한 것임. 四季花는 薔薇의 一種인데, 봄에는 三월, 여름에는 六월 가을에는 九월 겨울에는 十二월에 開花하여 四季라는 이름을 얻은 것임.

청가묘무(淸歌妙舞)[춘몽가(츈몽가) 17 페이지 / 전적]

번성하고 화려함.얼굴에 달기(達氣)가 있고 화려함.

청가묘무(淸歌妙舞)[연행별곡(연별곡) 26 페이지 / 전적]

맑고 영롱한 노래와 묘한 춤사위.

청가묘무(淸歌妙舞)[춘몽가(츈몽가) 17 페이지 / 전적]

맑은 노래와 매우 잘 추는 춤.

청가일곡(淸歌一曲)[청춘사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시원스런 노래 한 곡조.

청간(請簡)[가사소리 13 페이지 / 전적]

청탁하는 서간.

청간정(淸澗亭)[관동별곡 12 페이지 / 전적]

간성 남쪽 해변에 위치한 정자로서, 관동팔경의 하나.

청강(淸江)[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맑은 강.

청강녹수(淸江綠水)[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맑은 강과 푸른 물결, 아름다운 자연 경치를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