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청홍사(靑紅絲)[형졔분슈가 3 페이지 / 전적]

혼례에 쓰는 남색과 붉은색의 명주실 테.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혼인을 청할 때 청홍(靑紅)의 두 끝을 따로따로 접고 그 허리에 색깔이 엇바뀌게 끼움.

청홍상(靑紅裳) 창포(菖蒲)비녀 청홍상(靑紅裳) 창포(菖蒲)비녀[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4 페이지 / 전적]

단오절에 청홍상을 입고 창포비녀를 한 여자들을 두고 이름. 푸른 치마와 붉은 치마. 창포잠(菖蒲簪). 창포 뿌리를 깎아 붉게 물들인 비녀. 부녀들이 단오절에 역병(疫病)을 물리치는 액땜으로 꽂음. 가사 원문에서의 ‘장포’는 ‘창포’의 와전으로 판단된다.

청화(淸和)[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0 페이지 / 전적]

맑고 화창함.

청화(淸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44 페이지 / 전적]

「淸和 」― 世俗이 四月을 들어 淸和月이라 이름.謝眺詩에『麥候始淸和 凉雲散炎燠』이란 句가 있음.

청화(淸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5 페이지 / 전적]

「淸和」-世俗이 四月을 들어 淸和月이라 稱함. 歲時基에「四月朔 委淸和節」이라 했음

청화(靑華) 갈매 옥색(玉色)[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0 페이지 / 전적]

중국에서 산출되는 푸른 물감의 한 가지. 갈맷빛. 짙은 초록빛. 약간 파르스름한 빛깔.

청화淸和[ 1 페이지 / ]

맑고 화창함.

청화당혜(靑華唐鞋)[숙덕부인도덕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색 빛깔이 나는 당초문(唐草紋)을 새긴 가죽신.

청환(淸宦)[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학식과 문벌이 높은 사람에게 내린 규장각(奎章閣), 홍문관(弘文館) 등의 벼슬을 말한다.

청황[팔역가(八域歌) 16 페이지 / 전적]

청나라 사람

청황적백(靑黃赤白) 사색광명(四色光明)[자책가(가) 13 페이지 / 전적]

청 · 황 · 적 · 백 등 네 가지의 밝고 환한 빛.

청황흑백(靑黃黑白)[유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푸른색, 노란색, 검정색, 흰색을 말하며, 각각 동쪽, 남쪽, 북쪽, 서쪽을 가리킨다.

체결(締結)[나부가라(라부가라) 3 페이지 / 전적]

얽어서 맺음.

체경(體鏡)[인일가라 5 페이지 / 전적]

몸 전체를 비추어 볼 수 있는 큰 거울.

체계(遞計)[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2 페이지 / 전적]

장체계(場遞計). 장에서 비싼 이자로 돈을 꾸어 주고, 장날마다 본전의 일부와 이자를 받아들이는 일.

체계(遞計)돈[아림가(娥林歌) 31 페이지 / 전적]

장체계(場遞計). 예전에, 장에서 비싼 이자로 돈을 꾸어 주고 장날마다 본전의 일부와 이자를 받아들이던 일.

체계전(遞計錢)[권학가 7 페이지 / 전적]

체곗돈. 체계(遞計)로 쓰는 돈.

체국포태(體局胞胎)[구산가(求山歌) 4 페이지 / 전적]

묏자리의 생김새가 몸속의 태아와 같음. 포태법(胞胎法)-풍수지리에서 생물의 열두 과정을 통해 길흉을 보는 법. 그 과정은 포(胞), 태(胎), 양(養), 생(生), 욕(浴), 대(帶), 관(冠), 왕(旺), 쇠(衰), 병(病), 사(死), 장(葬).

체궈리[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6 페이지 / 전적]

본 가사의 이본 등에서 “體适이”라 한 것으로 미루어 이는 춤을 출 때 등장하던 “꼭두각시”를 가리키는 듯함.

체두(杕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3 페이지 / 전적]

「杕杜」― 詩經 唐風 杕杜에 「有杕之杜 生于道左 彼君子兮 逝肯適我 中心好之 曷飮食之」라는 章이 있은데 小序에 「이는 자신이 어진이를 좋아하나 招致를 못할까 두려워서 지은 것이다」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