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초군(樵軍)[셔운가 2 페이지 / 전적]
나무꾼.
초군(樵軍)[나부가라(라부가라) 3 페이지 / 전적]
나무꾼.
초근(草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풀 뿌리.
초근목피(草根木皮)[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27 페이지 / 두루마리]
풀뿌리와 나무껍질.
초기(初忌)[송강집(松江集三)3 91 페이지 / 전적]
소상(小祥)날을 이름.
초나라 소가 황금을 똥으로 누네[녁대가(녁가) 33 페이지 / 전적]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유래. 중국 전국시대 진(秦)나라 혜왕(惠王)은 대리석으로 소를 조각한 뒤 그 속에 황금과 비단을 채워 넣고, 욕심 많은 촉후(蜀侯)에게 황금똥을 누는 소를 바치겠다고 속여 길을 연 뒤 촉나라를 정벌하였음.
초년(初年)[벽천가 24 페이지 / 전적]
젊은 시절.
초년패(初年敗)[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6 페이지 / 전적]
장사 지낸 뒤 한번은 패가(敗家)함.
초노(超怒)[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화남.
초노(超怒)[화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화남.
초달(楚撻)[효성가라 5 페이지 / 전적]
회초리로 종아리를 때림.
초달(楚撻)[계녀사라 1 페이지 / 전적]
회초리로 종아리를 때림.
초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0 페이지 / 전적]
「誅茅」― 띠를 베어 집을 짓는 다는 말임. 庾信의 哀江南賦에「誅茅宋玉之宅」이라 하였음
초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1 페이지 / 전적]
「草堂儒」― 杜甫가 成都 莞花溪에 草堂을 지었으므로 세상이 杜草堂이라 일컬었음.
초당(草堂)[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집의 원채에서 따로 떨어진 정원에 억새나 짚으로 지붕을 인 작은 집채.
초당(草堂)[사친가2(思親歌(二)) 12 페이지 / 전적]
집의 원채에서 따로 떨어진 정원에 억새나 짚으로 지붕을 인 작은 집채.
초당(草堂)[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의 본채에서 따로 떨어진 곳에 억새, 짚 등으로 지붕을 이어 만든 작은 집.
초당(草堂)[옥산가라 11 페이지 / 전적]
억새나 짚 따위로 지붕을 인 조그마한 집채. 흔히 집의 몸채에서 따로 떨어진 곳에 지음.
초당(草堂)[춘몽가(츈몽가) 5 페이지 / 전적]
억새나 짚 따위로 지붕을 인 조그마한 집채.흔히 집의 몸채에서 따로 떨어진 곳에 지음.
초당(草堂)[춘몽가(츈몽가) 5 페이지 / 전적]
억새나 짚 따위로 지붕을 인 조그마한 집채.흔히 집의 몸채에서 따로 떨어진 곳에 지음.